中企 제조업 CEO 고령화 심각…"상속세 부담에 매각·폐업 선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오영주 "10년 뒤 35만곳 폐업
더 늦기 전 승계 특별법 추진"
더 늦기 전 승계 특별법 추진"

기업승계 관련 종합 플랫폼 운영의 핵심 역할은 기술보증기금이 맡는다. 기업과 접점이 있는 정책금융기관으로서 기보가 매수·매도 희망 기업을 찾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인수합병(M&A) 자금줄 역할도 할 예정이다. 민간에서는 로펌, 벤처캐피털(VC) 등 M&A 관련 60여 개 중개업체가 기업 M&A를 도와 수익을 창출하게 된다. 정부는 민간 M&A 중개기관 등록·관리를 책임진다. 기업승계 특별법 제정 추진과 맞물려 상속세 완화 방안도 본격 논의될지 주목된다.

중소기업 생태계 강화를 위해 혁신 기업도 늘린다. 현재 7만3000개인 혁신 중소기업을 2027년까지 10만 개로 늘리고 전통산업 중소기업이 신산업으로 ‘제2의 창업’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기업 성장사다리도 손본다. 국내 기업의 95%가 소상공인이고 나머지 중소기업이 4.9%,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0.1%에 불과해 마치 압정 같은 구조인데 이를 안정적인 피라미드형으로 바꾸겠다는 구상이다.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소기업에서 중기업으로 성장하는 등 레벨업한 기업이 8만9000개로 전체 중소기업의 1.5%에 그쳤다. 이를 2027년까지 15만 개 이상으로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