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의 허브' 아르떼 1년…고품격 컬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콘텐츠 양과 질 모두 압도
100명 넘는 화려한 필진 앞세워
공연·전시 고품격 리뷰 '아카이브'
제프 쿤스·반 시게루 단독 인터뷰
프리즈 런던·아트바젤 마이애미
최대 미술시장 행사 리뷰 큰 반향
100명 넘는 화려한 필진 앞세워
공연·전시 고품격 리뷰 '아카이브'
제프 쿤스·반 시게루 단독 인터뷰
프리즈 런던·아트바젤 마이애미
최대 미술시장 행사 리뷰 큰 반향
지난 2월 21일 오후 10시(현지시간) 클래식 연주자 사이에서 ‘꿈의 무대’로 불리는 미국 뉴욕 카네기홀. 마지막 앙코르곡 연주를 마치고 건반에서 손을 뗀 피아니스트 임윤찬(20)은 객석에서 쏟아지는 뜨거운 환호와 박수 세례를 받으며 호흡을 가다듬었다.
이 공연에 관한 최초 리뷰 기사가 인터넷에 올라온 건 4시간 뒤인 2월 22일 오전 2시(한국시간 오후 3시)였다. 김동민 뉴욕클래시컬 플레이어스 음악감독이 공연 프로그램인 쇼팽 에튀드 본연의 성격과 임윤찬의 독보적 해석, 탁월한 연주력 등을 다각도로 분석해 아르떼에 쓴 글이었다. 국내 모든 매체는 물론이고 ‘현지 언론’ 뉴욕타임스(NYT)보다 빨랐다.
가장 빠르고 정확한 고품격 공연·전시 리뷰를 선보이는 ‘리뷰의 허브’ 아르떼가 1일로 출범 1주년을 맞았다. 이때까지 아르떼에 게재된 콘텐츠는 총 4814건으로 하루 평균 13건 넘는 글이 올라온 것이다. 서비스 출범 1년 만에 아르떼가 국내 대표 문화예술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는 평가를 받게 된 핵심 비결이다.
이런 강점이 가장 잘 드러나는 곳은 해외 문화예술 행사 리뷰다. ‘미술 올림픽’으로 불리는 이탈리아 베네치아비엔날레의 올해 현장 기사(13건)는 국내 언론 가운데 가장 많았다. 지난 1년간 열린 유럽 최정상급 미술 장터인 파리+와 프리즈 런던, 북미 최대 미술시장 행사인 아트바젤 마이애미, 아시아 최고인 홍콩 아트바젤의 현장 리뷰를 모두 만날 수 있는 곳도 국내에서는 아르떼뿐이었다.
거장의 인터뷰도 예술 애호가를 잡아끄는 ‘매력 포인트’다. ‘가장 비싼 생존 작가’ 제프 쿤스와 ‘건축계 노벨상’ 프리츠커상을 받은 건축가 반 시게루 등의 단독 인터뷰가 단적인 예다.
100명이 넘는 필진이 쓰는 ‘명품 칼럼’도 아르떼의 큰 기둥이다. 클래식에서는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콩쿠르 우승자인 바이올리니스트 조진주,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젊은 지휘자상 콩쿠르 우승자인 윤한결,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우승자인 소프라노 황수미와 관련된 칼럼이 클래식 전공자와 비전공자에게 고루 사랑받고 있다.
미술에서는 이보름 가나아트 기획총괄, 심상용 서울대 미술관장을 비롯해 이명목 사비나미술관장 등 필진이 전문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칼럼을 선보이고 있다. 이동훈 ‘아르떼 뮤지엄’ 디스트릭트 공동 창업자도 아르떼가 자랑하는 필자 가운데 하나다. 오범조 서울시보라매병원 의사와 오경은 상명대 미술사학 교수 남매는 두 명이 하나의 글을 쓰는 작업으로 흥미를 더하고 있다.
성수영/김수현 기자 syoung@hankyung.com
이 공연에 관한 최초 리뷰 기사가 인터넷에 올라온 건 4시간 뒤인 2월 22일 오전 2시(한국시간 오후 3시)였다. 김동민 뉴욕클래시컬 플레이어스 음악감독이 공연 프로그램인 쇼팽 에튀드 본연의 성격과 임윤찬의 독보적 해석, 탁월한 연주력 등을 다각도로 분석해 아르떼에 쓴 글이었다. 국내 모든 매체는 물론이고 ‘현지 언론’ 뉴욕타임스(NYT)보다 빨랐다.
가장 빠르고 정확한 고품격 공연·전시 리뷰를 선보이는 ‘리뷰의 허브’ 아르떼가 1일로 출범 1주년을 맞았다. 이때까지 아르떼에 게재된 콘텐츠는 총 4814건으로 하루 평균 13건 넘는 글이 올라온 것이다. 서비스 출범 1년 만에 아르떼가 국내 대표 문화예술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는 평가를 받게 된 핵심 비결이다.
○고품격 리뷰, 오직 아르떼에서만
“속도와 전문성을 모두 갖췄다.” 아르떼 리뷰에 대한 문화예술 애호가의 평가다. 지난 1년간 아르떼에 올라온 국내외 주요 공연·전시 리뷰는 건수(1223건)부터 압도적이다. 담당 기자와 객원기자 등 10여 명, 화려한 외부 전문가 필진이 포진한 덕분이다.이런 강점이 가장 잘 드러나는 곳은 해외 문화예술 행사 리뷰다. ‘미술 올림픽’으로 불리는 이탈리아 베네치아비엔날레의 올해 현장 기사(13건)는 국내 언론 가운데 가장 많았다. 지난 1년간 열린 유럽 최정상급 미술 장터인 파리+와 프리즈 런던, 북미 최대 미술시장 행사인 아트바젤 마이애미, 아시아 최고인 홍콩 아트바젤의 현장 리뷰를 모두 만날 수 있는 곳도 국내에서는 아르떼뿐이었다.
거장의 인터뷰도 예술 애호가를 잡아끄는 ‘매력 포인트’다. ‘가장 비싼 생존 작가’ 제프 쿤스와 ‘건축계 노벨상’ 프리츠커상을 받은 건축가 반 시게루 등의 단독 인터뷰가 단적인 예다.
○100명이 넘는 압도적인 칼럼 필진
기획 기사도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독일 베를린필하모닉의 디지털 콘서트홀, 일본의 예술 섬 나오시마 대해부, 영국의 예술 메카 게이츠헤드 등 현장을 취재한 ‘세계도시 문화전쟁’, 여기에서 얻은 시사점을 기반으로 국내 문화예술계의 정책 개선점을 제시한 ‘100년 문화강국으로 가는 길’ 시리즈는 정부와 문화예술계에 직접적인 정책 변화를 이끌어냈다.100명이 넘는 필진이 쓰는 ‘명품 칼럼’도 아르떼의 큰 기둥이다. 클래식에서는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콩쿠르 우승자인 바이올리니스트 조진주,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젊은 지휘자상 콩쿠르 우승자인 윤한결,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우승자인 소프라노 황수미와 관련된 칼럼이 클래식 전공자와 비전공자에게 고루 사랑받고 있다.
미술에서는 이보름 가나아트 기획총괄, 심상용 서울대 미술관장을 비롯해 이명목 사비나미술관장 등 필진이 전문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칼럼을 선보이고 있다. 이동훈 ‘아르떼 뮤지엄’ 디스트릭트 공동 창업자도 아르떼가 자랑하는 필자 가운데 하나다. 오범조 서울시보라매병원 의사와 오경은 상명대 미술사학 교수 남매는 두 명이 하나의 글을 쓰는 작업으로 흥미를 더하고 있다.
성수영/김수현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