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손잡은 플래그십 "韓 바이오 허브 구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안도니안 플래그십 亞·太 의장
지난 1월 삼성과 협력 첫 공식화
삼성 병원 통해 글로벌 신약 임상
차세대 의약품 생산도 손잡기로
지난 1월 삼성과 협력 첫 공식화
삼성 병원 통해 글로벌 신약 임상
차세대 의약품 생산도 손잡기로

○삼성 병원, 송도 공장에 꽂힌 플래그십

안도니안 의장은 글로벌 컨설팅 기업 맥킨지앤드컴퍼니에서 34년간 근무하다 지난해 11월 플래그십에 합류했다. 맥킨지 한국사무소 대표를 지내기도 했다.
창업형 VC인 플래그십은 투자자, 과학자, 창업자가 함께 일하며 회사를 세우기도, 성장시키기도 한다. 지난 1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누바르 아페얀 플래그십파이어니어링 최고경영자(CEO)가 만나 협력을 공식화했고 현재 세부 계획을 짜고 있다.
안도니안 의장은 “세계 신약 개발 데이터는 대부분 유럽과 미국에 치우쳐 있다”며 “삼성의 대형병원을 활용하면 임상에 속도를 낼 뿐 아니라 한국 사람들의 표본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신약개발·생산 등 다방면 협력

○이르면 연내 한국지부 설립
플래그십은 삼성뿐 아니라 보건복지부, KAIST, 서울대 등 다양한 기관과 협력해 한국과의 접점을 늘려갈 계획이다. 이르면 연내 한국 지부도 설립할 예정이다. 안도니안 의장은 “기초실험부터 개발, 상업화까지 모든 밸류체인을 다루는 것이 (지부의) 목표”라며 “모든 종류의 협력 방안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향후 주목할 바이오 분야는 CGT와 더불어 AI를 꼽았다. 그는 “디지털 기술은 알고리즘과 코드, 규칙이 있기 때문에 반복적인 결과물을 낼 수 있어 개발 속도가 빨랐다”며 “반면 바이오 기술은 훨씬 복잡하고 각종 실패를 겪어야 하는 분야인 만큼 비교적 개발이 더뎠다”고 했다. 이어 “이제는 두 기술이 수렴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