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살려면 10평에 살라고?"…국민청원 4만명 '눈앞' [심형석의 부동산정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닷컴 더 머니이스트

문제가 된 법률은 정부가 올해 3월에 공포한 ‘공공주택특별법 시행규칙’입니다. 세대원수에 따라 공공임대주택 전용면적에 제한을 두는 내용입니다. 세대원 1명은 전용면적 35㎡(10.5평) 이하, 2명은 25~44㎡(13.3평), 3명은 35~50㎡(15.1평) 등으로 구분했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재원이 많지 않습니다. 한정된 자원을 배분하기 위해서는 다소의 제한과 불편함이 뒤따라야 합니다. 1인 세대만을 위해 주택면적을 마냥 넓힐수는 없습니다. 정부 입장에서는 혼인·출산 세대가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이들에게는 자녀 양육에 불편함이 없도록 넓은 면적의 주택에 입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하는데, 이를 위해서라도 1인 세대의 면적 제한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더 크게 고려해야 할 점은 공공임대에 편하게 오랜 기간 거주하는 것이 미혼 1인 세대에게 도움이 되느냐 문제입니다. 부부세대와 다르게 미혼세대는 더욱 자산관리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노후의 경제생활은 물론 질병관리 등까지도 혼자 책임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소득을 높이고 자산축적을 통해 자립기반을 만드는 것이 고령화시대 꼭 필요한 자산관리의 목표입니다. 안타깝게도 공공임대주택에 오래 거주하는 동안 이런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갈수록 어려워집니다. 상대적으로 주거비 부담이 큰 계층에게 안정적인 주거생활을 보장해주는 것이 공공임대주택의 목적이지만 오랜 기간 편안하게 임대주택에 거주한다면 자산축적과 독립적인 사고는 사라지게 됩니다.
공공임대주택을 보급하는 목적은 취약계층의 주거안정에 있습니다. 본인이 취약계층이라고 생각한다면 그 임대주택에 장기간 거주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내가 자산을 축적하고 한단계 나은 삶의 질을 누리고 싶다면 당장 임대주택을 벗어나는 계획부터 설계해야 합니다.
<한경닷컴 The Moneyist> 심형석 우대빵연구소 소장·美IAU 교수
"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독자 문의 : th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