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주도 나트륨 배터리 무작정 쫓으면 안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대 이차전지연구센터 주최
한경 후원 '배터리 세미나'
흑연보다 비싼 하드카본 탑재
가격 경쟁력 있다고 볼수 없어
LFP 대체할지는 지켜봐야
K배터리, 잘하는 것에 집중해야
리튬 공정·제조 혁신이 우선
한경 후원 '배터리 세미나'
흑연보다 비싼 하드카본 탑재
가격 경쟁력 있다고 볼수 없어
LFP 대체할지는 지켜봐야
K배터리, 잘하는 것에 집중해야
리튬 공정·제조 혁신이 우선
“당신이 배터리 기업 최고경영자(CEO)라면 나트륨 배터리에 투자할 것인가.” 지난 3일 서울대 이차전지혁신연구센터(IRC) 주최로 열린 ‘제1회 현안 세미나’에서 나온 질문이다. ‘소듐 배터리’로도 불리는 나트륨 배터리는 세계 1위 배터리 셀 제조사인 중국 CATL의 쩡위췬 회장이 “전고체가 아니라 소듐이 차세대 배터리의 대안”이라고 말할 만큼 중국이 리튬·인산철(LFP)에 이어 주력으로 삼고 있는 미래 배터리다. 이에 대해 강기석 IRC 센터장 등 참석자들은 “나트륨 배터리가 정말 저가로 제조될 수 있는지 의문”이라며 “자본 투자 여력을 감안하면 한국이 강점을 갖춘 리튬 배터리의 제조 혁신에 투자하는 게 낫다”고 입을 모았다.
이날 포럼에선 나트륨 배터리의 미래가 ‘현안’ 토론 의제에 올랐다. 나트륨 배터리는 중국 전기차에 장착되며 상용화되기 시작됐다. 르노와 중국 장링그룹의 합작사인 JMEV가 중국 배터리 업체 파라시스의 나트륨 배터리를 적용한 전기차를 지난해 말 최초로 출시했다. 나트륨은 리튬 매장량보다 440배 많은 흔한 원자재라는 점 때문에 시장 일각에선 나트륨 배터리가 LFP를 대체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하지만 포럼 참석자들은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최근 중국 학회에 다녀왔는데 나트륨 배터리를 선도하는 학자가 이번에 나오지 않았다”며 “실제 상용화가 어려워지자 압박을 상당히 받고 있다는 소문이 파다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한국 배터리산업의 방향에 대해 “잘하는 것을 더 잘하는 쪽으로 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현수 하나증권 연구위원은 “저가 배터리의 성능은 여전히 불안 요소가 많다”며 “중국과 비교해 우리의 강점은 고품질과 안정성이라는 프리미엄”이라고 말했다. 최 교수도 “나트륨 배터리에 대해선 아직 신뢰할 만한 데이터가 없다”며 “연구 성과를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강 교수는 “프리미엄 리튬 배터리의 공정 혁신을 통해 미드 마켓에서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투자하는 게 낫다”고 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전기차 수요 부진이 3년 정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대해 김 연구위원은 “2026년 후반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자율주행 기술이 전기차시장 반등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차전지혁신연구센터는 지난해 9월 출범한 국내 배터리 분야 ‘연구허브’다. 정부는 지난해 12개 첨단 테크놀로지와 관련해 컨트롤타워를 선정했는데, 배터리 분야에선 서울대가 낙점됐다.
성상훈/김형규 기자 uphoon@hankyung.com
소듐 배터리 가능성 ‘갑론을박’
IRC가 주최하고 한국경제신문사가 후원한 이날 행사엔 국내 배터리 전문가 40여 명이 총출동했다. 김제영 LG에너지솔루션 전무, 선희영 SK온 연구본부장, 김윤창 삼성SDI 연구소장 등 국내 배터리 셀 제조 3사의 최고기술책임자(CTO)를 비롯해 정경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에너지저장연구센터장, 강기석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 최장욱 서울대 화학생물학부 교수, 이상영 서울대 화학부 교수 등이 참석했다.이날 포럼에선 나트륨 배터리의 미래가 ‘현안’ 토론 의제에 올랐다. 나트륨 배터리는 중국 전기차에 장착되며 상용화되기 시작됐다. 르노와 중국 장링그룹의 합작사인 JMEV가 중국 배터리 업체 파라시스의 나트륨 배터리를 적용한 전기차를 지난해 말 최초로 출시했다. 나트륨은 리튬 매장량보다 440배 많은 흔한 원자재라는 점 때문에 시장 일각에선 나트륨 배터리가 LFP를 대체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하지만 포럼 참석자들은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최근 중국 학회에 다녀왔는데 나트륨 배터리를 선도하는 학자가 이번에 나오지 않았다”며 “실제 상용화가 어려워지자 압박을 상당히 받고 있다는 소문이 파다하다”고 말했다.
“자율주행이 전기차 2차 부흥 이끌 것”
강 센터장은 “소재 측면에서 나트륨 가격은 리튬에 연동될 수밖에 없다”며 “규모의 경제 덕분에 리튬 배터리 가격이 내려가고 있고 리튬 광산을 보유한 국가들도 가격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나트륨 배터리가 정말 LFP보다 쌀 것인지 장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나트륨 배터리는 흑연보다 4~7배 비싼 하드카본을 음극에 써야 하는데 이걸로는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없을 것”이라고 꼬집었다.전문가들은 한국 배터리산업의 방향에 대해 “잘하는 것을 더 잘하는 쪽으로 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현수 하나증권 연구위원은 “저가 배터리의 성능은 여전히 불안 요소가 많다”며 “중국과 비교해 우리의 강점은 고품질과 안정성이라는 프리미엄”이라고 말했다. 최 교수도 “나트륨 배터리에 대해선 아직 신뢰할 만한 데이터가 없다”며 “연구 성과를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강 교수는 “프리미엄 리튬 배터리의 공정 혁신을 통해 미드 마켓에서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투자하는 게 낫다”고 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전기차 수요 부진이 3년 정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대해 김 연구위원은 “2026년 후반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자율주행 기술이 전기차시장 반등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차전지혁신연구센터는 지난해 9월 출범한 국내 배터리 분야 ‘연구허브’다. 정부는 지난해 12개 첨단 테크놀로지와 관련해 컨트롤타워를 선정했는데, 배터리 분야에선 서울대가 낙점됐다.
성상훈/김형규 기자 up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