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7년 후에는 국민의 절반이 50세 이상이 된다. 또 저출생 여파로 20년 후에는 생산가능인구가 약 1000만명 줄어 경제성장 속도도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6일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이 발간한 '2024년 인구보고서'에 따르면 중위연령은 2023년 45.5세에서 2031년 50.3세로 오른다.

중위연령은 전체인구를 연령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있는 사람의 나이로, 2031년에는 국민의 절반이 50세 이상이 되는 것과 같다.

저출생 추이가 지속되면서 2033년 초등학교 입학 연령인 7세 아동 수는 약 22만명까지 줄어든다. 2023년 약 43만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반토막 수준이다.

병력 자원도 급감해 14년 후에는 신규 현역 입영대상자 20만명선이 붕괴된다. 2038년 20세 남성은 약 19만명으로 2023년 약 26만명과 비교해 7만명이 줄어든다.

15∼64세에 속하는 생산가능인구도 2023년 3657만명에서 2044년 2717만명으로 무려 940만명 사라진다.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소비 활력을 떨어뜨려 내수시장 붕괴를 야기할 수 있다. 연구원은 "노인 부양 부담이 커져 경제성장 속도가 급속히 둔화하면서 장기 저성장이 굳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반면 노인인구는 늘어난다. 2050년 65세 이상 고령자는 1891만명으로 역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전체 인구의 40% 수준이다. 또 2061년 80세 이상 초고령자는 849만명까지 늘어나 전체 인구의 20.3%를 차지하게 된다. 2023년 229만명(전체 인구 4.4%)에서 무려 3.7배 증가한다.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장은 "인구감소로 인한 재앙은 대한민국의 존립이 달린 사안"이라며 "인구 회복의 골든타임이 지나가면 우리 사회가 다시 안정적인 상태로 돌아가기까지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