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임원은 주 6일 출근인데…기아노조 "주 4.5일 법제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아 노조(금속노조 기아자동차 지부)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 등에게 “제22대 총선 공약으로 공언했던 주 4.5일제 법제화를 강력하게 요구한다”는 공문을 보냈다. 삼성, SK 등 국내 주요 그룹이 고환율 고유가 등으로 인한 비상경영체제에 들어가며 임원의 주 6일 근무를 확대하는 움직임과 크게 비교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노조 소식지에 따르면 기아 노조는 지난 2일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진보당에 ‘주 4.5일제 법제화 제안건’ 공문을 보냈다. 기아 노조는 공문을 통해 “대한민국은 선진국 대열에 진입했음에도 여전히 노동시간이 OECD 35개국 중 4번째로 많다”고 했다. 이어 “유럽, 미국에서는 주4일제를 도입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며 “한국은 정보기술(IT) 기업을 중심으로 주4일제가 도입되고 있지만 산업 전방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아 노조는 “올해 임단협 단체교섭에서 (회사를 상대로) 주 4.5일제 도입을 강력히 요구할 것이며,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 주 4.5일제 도입에 대한 논의의 자리를 요청한다”고 했다. 이어 “민주당은 22대 총선 공약으로 공언했던 주 4.5일제에 대한 법제화를 제안하고 22대 국회 개원 시 입법 추진하기를 강력하게 요구한다”고 밝혔다.
기아 노조의 주 4.5일제 법제화 요구는 최근 삼성이 비상 경영에 돌입하며 ‘임원 주6일 근무’를 시행한 것과 대조적이다. 삼성그룹의 모든 계열사 임원은 지난달부터 토요일이나 일요일 중 하루를 골라 근무하기 시작했다. 삼성전자 등 주력 계열사의 실적이 예전만 못한 상황에서 환율, 유가 등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자 사실상 ‘비상경영 체제’에 들어간 것이다.
주력 계열사의 실적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SK그룹도 지난 2월부터 수뇌부와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들이 토요일에 모여 현안을 논의하는 ‘토요 사장단 회의’를 20년 만에 부활시켰다.
기아 노조의 주 4.5일제 요구에 대해 황용연 경총 노동정책본부장은 “생산성 향상이 전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근로시간을 단축시키자는 것은 기업의 비용부담만 증가시켜 일자리 유지에 부작용을 초래할 것”이라며 “일과 삶의 균형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근로시간 단축보다는 근로시간 운영의 유연성을 확대시키는 제도 개선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김진원 기자
7일 노조 소식지에 따르면 기아 노조는 지난 2일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진보당에 ‘주 4.5일제 법제화 제안건’ 공문을 보냈다. 기아 노조는 공문을 통해 “대한민국은 선진국 대열에 진입했음에도 여전히 노동시간이 OECD 35개국 중 4번째로 많다”고 했다. 이어 “유럽, 미국에서는 주4일제를 도입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며 “한국은 정보기술(IT) 기업을 중심으로 주4일제가 도입되고 있지만 산업 전방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아 노조는 “올해 임단협 단체교섭에서 (회사를 상대로) 주 4.5일제 도입을 강력히 요구할 것이며,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 주 4.5일제 도입에 대한 논의의 자리를 요청한다”고 했다. 이어 “민주당은 22대 총선 공약으로 공언했던 주 4.5일제에 대한 법제화를 제안하고 22대 국회 개원 시 입법 추진하기를 강력하게 요구한다”고 밝혔다.
기아 노조의 주 4.5일제 법제화 요구는 최근 삼성이 비상 경영에 돌입하며 ‘임원 주6일 근무’를 시행한 것과 대조적이다. 삼성그룹의 모든 계열사 임원은 지난달부터 토요일이나 일요일 중 하루를 골라 근무하기 시작했다. 삼성전자 등 주력 계열사의 실적이 예전만 못한 상황에서 환율, 유가 등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자 사실상 ‘비상경영 체제’에 들어간 것이다.
주력 계열사의 실적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SK그룹도 지난 2월부터 수뇌부와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들이 토요일에 모여 현안을 논의하는 ‘토요 사장단 회의’를 20년 만에 부활시켰다.
기아 노조의 주 4.5일제 요구에 대해 황용연 경총 노동정책본부장은 “생산성 향상이 전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근로시간을 단축시키자는 것은 기업의 비용부담만 증가시켜 일자리 유지에 부작용을 초래할 것”이라며 “일과 삶의 균형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근로시간 단축보다는 근로시간 운영의 유연성을 확대시키는 제도 개선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김진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