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G 등 차세대 통신, 저전력 기술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취임 2년' 이종호 장관 간담회
K클라우드 사업도 집중 투자
AI기본법 하루 빨리 통과돼야
K클라우드 사업도 집중 투자
AI기본법 하루 빨리 통과돼야
!["6G 등 차세대 통신, 저전력 기술 개발"](https://img.hankyung.com/photo/202405/AA.36652768.1.jpg)
이 장관은 이날 새로운 기술을 설명하는 데 주로 시간을 할애했다. 이 장관은 “앞으로 6세대(6G) 이상 차세대 통신으로 가면 저궤도 위성, 오픈 랜(개방형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저전력 클라우드 등 여러 가지 새로운 기술이 필요하다”며 “기지국 전력 소모가 굉장히 커져 탄소중립에 큰 걸림돌이 되는데 이를 해소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도체 전문가로서 역점을 두고 있는 K클라우드 사업도 소개했다. 이는 국산 AI 반도체를 데이터센터에 우선 공급해 성능을 실증하는 사업으로 예비타당성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연구개발(R&D) 예타 제도에 대해선 “기획재정부와 협의해 개선 방안을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예타 제도 변경은 국가재정법 개정 사항이다. R&D 예산 삭감에 대해서는 불가피한 조치라는 견해를 분명히 했다. 이 장관은 “그간 국회에서 여야를 가리지 않고 연구비는 항상 증가했는데 결과가 없다고 비판했고, 많은 사람이 나눠 먹기 R&D의 문제와 불공정성을 지적해 왔다”고 일축했다.
일본 총무성의 네이버가 보유한 라인야후 지분 정리 요구 사태에 관해서는 “국내 기업이 해외에서 사업할 때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정부의 최우선 원칙”이라며 “네이버의 의사를 존중해 피해를 보지 않도록 외교부와 긴밀히 협의해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이날 국회에 계류된 인공지능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 등이 조속히 통과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장관은 “사람 목소리와 똑같은 딥보이스를 활용한 범죄가 급증하고 있어 국민 보호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