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급팽창…LG엔솔, 전기차 라인까지 전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美 전기차 배터리 공장 일부
ESS 라인으로 전환 추진
ESS 라인으로 전환 추진
전기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쓰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이 급팽창하고 있다. ESS와 한묶음으로 판매되는 태양광 패널 값이 1년 사이 반 토막 난 데다 ESS 핵심 부품인 배터리 가격도 15% 떨어진 영향이다. 전기차 ‘캐즘’(대중화 전 일시적 수요 침체)으로 고전하는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공장의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라인을 ESS 라인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등 국내 배터리 3사도 ‘황금시장’ 잡기에 나섰다.
10일 에너지 분야 리서치업체인 우드매켄지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 신규 설치된 ESS는 2만5978㎿h 규모로 1년 전(1만3163㎿h)보다 두 배 가까이로 늘었다. 2018년(829㎿h)과 비교하면 5년 만에 30배나 불었다.
중국에 이어 세계 2위 ESS 시장인 미국에서 관련 수요가 폭발한 것은 제품 가격 하락과 태양광발전 설비 확대가 맞물린 덕분이다. 산업용과 가정용을 막론하고 ESS는 태양광 또는 풍력발전기 옆에 반드시 따라붙는 필수품이다. 태양광과 풍력으로 생산한 전기를 어딘가에 저장해야 하기 때문이다.
태양광 패널 가격은 중국산 저가 제품이 쏟아지며 작년 초 W당 20~25센트에서 현재 10센트 초반으로 급락했다. ESS에 들어가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가격도 같은 기간 15% 하락했다. 이 덕분에 ‘태양광 발전시설+ESS’ 묶음 가격은 1년 동안 20~30% 떨어졌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30년 2000억달러(약 273조원)로 커질 미국 ESS 시장을 잡기 위해 현지 공장의 전기차 배터리 생산라인 일부를 ESS 생산라인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같은 이유로 SK온도 미국 ESS 전용공장 건설을 검토하고 있다. 삼성SDI는 2026년부터 양산하는 LFP를 ESS에 투입하기로 했다.
성상훈/김우섭 기자 uphoon@hankyung.com
10일 에너지 분야 리서치업체인 우드매켄지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 신규 설치된 ESS는 2만5978㎿h 규모로 1년 전(1만3163㎿h)보다 두 배 가까이로 늘었다. 2018년(829㎿h)과 비교하면 5년 만에 30배나 불었다.
중국에 이어 세계 2위 ESS 시장인 미국에서 관련 수요가 폭발한 것은 제품 가격 하락과 태양광발전 설비 확대가 맞물린 덕분이다. 산업용과 가정용을 막론하고 ESS는 태양광 또는 풍력발전기 옆에 반드시 따라붙는 필수품이다. 태양광과 풍력으로 생산한 전기를 어딘가에 저장해야 하기 때문이다.
태양광 패널 가격은 중국산 저가 제품이 쏟아지며 작년 초 W당 20~25센트에서 현재 10센트 초반으로 급락했다. ESS에 들어가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가격도 같은 기간 15% 하락했다. 이 덕분에 ‘태양광 발전시설+ESS’ 묶음 가격은 1년 동안 20~30% 떨어졌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30년 2000억달러(약 273조원)로 커질 미국 ESS 시장을 잡기 위해 현지 공장의 전기차 배터리 생산라인 일부를 ESS 생산라인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같은 이유로 SK온도 미국 ESS 전용공장 건설을 검토하고 있다. 삼성SDI는 2026년부터 양산하는 LFP를 ESS에 투입하기로 했다.
성상훈/김우섭 기자 up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