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中 태양광패널·광물도 관세 인상…中 "주저없이 보복하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슈퍼 301조 다시 빼든 美
이번주 中전략산업 관세안 발표
고율 관세 유지, 핵심 분야 추가
中도 '중국판 슈퍼 301조'로 맞불
식량분야 관세부터 인상 나설 듯
韓 자동차 업계도 긴장
단기적으론 완성차업체 반사이익
부품 등 관세전쟁 확산 땐 '타겨'
이번주 中전략산업 관세안 발표
고율 관세 유지, 핵심 분야 추가
中도 '중국판 슈퍼 301조'로 맞불
식량분야 관세부터 인상 나설 듯
韓 자동차 업계도 긴장
단기적으론 완성차업체 반사이익
부품 등 관세전쟁 확산 땐 '타겨'

바이든, 경합주 표심 공략
11일(현지시간) 주요 외신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는 2022년부터 트럼프 전 대통령이 슈퍼301조 등에 따라 중국산 제품에 부과한 3000억달러 규모 관세의 연장 여부를 검토해 왔다. 바이든 행정부는 기존 관세는 유지하고 전기차를 비롯해 △핵심 광물 △태양광전지 △배터리 등 핵심 전략 분야에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는 계획이다.바이든 행정부는 상대적으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우세한 경합주에서 표심을 되돌리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트럼프는 중국산 제품에 대해 ‘60% 관세 일률 적용’ 등 일관되게 강경 대응을 주장하고 있다. 미국자동차노조(UAW)에 가입하는 자동차 생산라인 노동자가 늘면서 바이든 대통령도 중국산 전기차를 압박하며 이들의 지지를 확보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필요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에는 중국산 철강·알루미늄 제품의 관세를 현행 7.5%에서 25%로 올리도록 미무역대표부(USTR)에 지시했다. USTR은 지난달 해양·물류·조선업 분야에서 중국의 불공정 무역관행 조사에 들어갔다.
중국 “보복 나설 것”
중국은 미국이 전기차 등 수출품의 관세를 인상하면 보복 조치에 나서겠다며 반발했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슈퍼301조를 남용해서 관세 인상을 계획하는 것은 미국의 잘못을 두 배로 늘리는 것”이라며 “미국이 중국에 대한 모든 추가 관세를 해제하고, 새로운 관세를 부과하지 않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중국 정부는 지난달 26일 중국 제품에 고관세를 매긴 나라의 상품에 보복관세를 부과할 수 있도록 한 새 관세법인 중국판 슈퍼301조를 통과시켰다. 2024년 12월부터 가동되는 새 관세법은 17조에 중국과 특혜무역협정(PTA)을 체결한 시장이 고관세를 부과하면 상호주의 원칙에 따라 상대국 상품에 동등한 관세를 부과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중국이 미국에 무역보복을 할 가능성이 큰 부문은 식량이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대두 보복관세를 통해 미국 농가에 타격을 주는 방법을 우선 고려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 자동차업계 ‘긴장’
국내 자동차업계도 긴장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미국 시장에서 중국산 완성차가 압박받으면 한국 완성차업체는 반사이익을 얻게 된다. 하지만 미·중 관계가 악화해 부품 등 다른 분야로 관세 전쟁이 확전되면 한국 업체도 피해를 볼 수 있다.전문가들은 한국 완성차업체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각국의 규제가 강해지는 시기를 기회로 시장 주도권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주문한다. 이종욱 전 한국모빌리티학회장(서울여대 경제학과 교수)은 “미국 정부가 중국산 전기차의 관세 인상을 고려하는 것은 미국 업체들이 경쟁력 있는 전기차를 개발할 시간을 벌게 해주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박신영 특파원/신정은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