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 넘기든 지키든…네이버, 협상따라 해외전략 수정 불가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네이버가 선택가능한 3가지는
전량매각·일부매각·현상유지
野, 정부대응 비판…쟁점화 변수
전량매각·일부매각·현상유지
野, 정부대응 비판…쟁점화 변수
네이버가 최근 라인야후 경영권과 관련해 “지분 매각을 포함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소프트뱅크와 협의 중”이라고 입장을 밝히면서 어떤 결론이 날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결과에 상관없이 네이버의 해외 전략에는 영향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국 정치권에서도 이 사건에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만큼 협상이 쉽사리 끝나지 않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12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네이버가 선택할 수 있는 대응은 △지분 전량 매각 △일부 매각 △현상 유지 등이 거론된다. 네이버와 소프트뱅크는 2019년 11월 라인과 야후재팬의 경영 통합을 결정했다. 2021년 이 둘을 합친 라인야후가 출범했다. 현재 네이버와 소프트뱅크는 라인야후 최대주주(64.5%)인 A홀딩스 지분을 절반씩 보유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라인야후에서 두 차례 정보 유출이 발생하자 라인야후에 네이버와의 자본 관계 재검토를 요구했다.
라인야후의 시가총액은 지난 10일 기준 2조8639억엔(약 25조2000억원)에 이른다. 산술적으로 네이버가 보유한 A홀딩스의 가치는 8조원 이상이다. 경영권 프리미엄을 더하면 10조원대로 추산된다. 소프트뱅크가 라인야후를 완전히 인수하기 위해선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가는 만큼 네이버가 A홀딩스 지분을 모두 파는 시나리오는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네이버가 A홀딩스 일부 지분을 넘겨주고 협력 관계를 계속 이어나가는 방향이 현재로선 가장 유력하다. 경영 통합 이후 경영은 소프트뱅크가, 기술은 네이버가 맡아 온 만큼 현재와 크게 달라질 것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지분을 얼마나 넘길지, 경영권 프리미엄의 가치를 어떻게 책정할지 등에서 양측의 이견을 조율하기 쉽지 않을 전망이다.
10일 네이버와 한국 정부의 입장 표명을 계기로 정치권이 이 사안을 쟁점화하고 나선 것도 변수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이토 히로부미의 자손인 마쓰모토 다케아키 일본 총무상이 라인을 침탈한다’며 정부 대응을 비판한 것을 시작으로 야당에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민주당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간사인 조승래 의원과 외교통일위원회 간사인 이용선 의원은 12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일본 정부의 행태는 명백한 국익 침해이자 반시장적 폭거”라고 비판했다. 라인야후 사태를 양국 간 중대 외교 사안으로 격상시켜 적극 대응하라고 정부에 촉구했다.
현재 상태가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법적 구속력이 없는 행정지도 특성상 네이버가 지분을 팔아야 할 의무는 없다. 다만 일본 정부의 유무형 압박은 거세질 확률이 높다.
네이버는 “중장기 전략에 기반해 지분 매각 여부를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네이버의 글로벌사업 상당수가 라인야후를 발판으로 이뤄지고 있는 만큼 결론과 상관없이 해외 전략에는 수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승우/정상원 기자 leeswoo@hankyung.com
12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네이버가 선택할 수 있는 대응은 △지분 전량 매각 △일부 매각 △현상 유지 등이 거론된다. 네이버와 소프트뱅크는 2019년 11월 라인과 야후재팬의 경영 통합을 결정했다. 2021년 이 둘을 합친 라인야후가 출범했다. 현재 네이버와 소프트뱅크는 라인야후 최대주주(64.5%)인 A홀딩스 지분을 절반씩 보유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라인야후에서 두 차례 정보 유출이 발생하자 라인야후에 네이버와의 자본 관계 재검토를 요구했다.
라인야후의 시가총액은 지난 10일 기준 2조8639억엔(약 25조2000억원)에 이른다. 산술적으로 네이버가 보유한 A홀딩스의 가치는 8조원 이상이다. 경영권 프리미엄을 더하면 10조원대로 추산된다. 소프트뱅크가 라인야후를 완전히 인수하기 위해선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가는 만큼 네이버가 A홀딩스 지분을 모두 파는 시나리오는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네이버가 A홀딩스 일부 지분을 넘겨주고 협력 관계를 계속 이어나가는 방향이 현재로선 가장 유력하다. 경영 통합 이후 경영은 소프트뱅크가, 기술은 네이버가 맡아 온 만큼 현재와 크게 달라질 것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지분을 얼마나 넘길지, 경영권 프리미엄의 가치를 어떻게 책정할지 등에서 양측의 이견을 조율하기 쉽지 않을 전망이다.
10일 네이버와 한국 정부의 입장 표명을 계기로 정치권이 이 사안을 쟁점화하고 나선 것도 변수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이토 히로부미의 자손인 마쓰모토 다케아키 일본 총무상이 라인을 침탈한다’며 정부 대응을 비판한 것을 시작으로 야당에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민주당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간사인 조승래 의원과 외교통일위원회 간사인 이용선 의원은 12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일본 정부의 행태는 명백한 국익 침해이자 반시장적 폭거”라고 비판했다. 라인야후 사태를 양국 간 중대 외교 사안으로 격상시켜 적극 대응하라고 정부에 촉구했다.
현재 상태가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법적 구속력이 없는 행정지도 특성상 네이버가 지분을 팔아야 할 의무는 없다. 다만 일본 정부의 유무형 압박은 거세질 확률이 높다.
네이버는 “중장기 전략에 기반해 지분 매각 여부를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네이버의 글로벌사업 상당수가 라인야후를 발판으로 이뤄지고 있는 만큼 결론과 상관없이 해외 전략에는 수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승우/정상원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