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집단 유급 위기에…집중이수제·계절학기 확대 검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가고시 연장 제안도 나왔지만
대학 "학생 안돌아오면 무용지물"
대학 "학생 안돌아오면 무용지물"
의대 증원에 반발하며 학교를 떠난 의대생들의 집단유급을 막기 위해 각 대학이 온라인 수업, 계절학기 추가 수강 등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대학은 의사국가시험 연기를 제안했다.
12일 교육계에 따르면 의대를 운영 중인 전국 40개 대학은 교육부에 의정 갈등과 관련한 학사운영 방안을 마련해 제출했다. 교육부가 이달 초 △탄력적 학사운영 추진 계획 △예과 1학년 학사운영 관련 조치계획 △임상실습 수업 운영 관련 조치계획 △집단행동 강요 관련 상황 점검·대응 등을 요청한 데 따른 것이다. 사실상 의대생 집단유급을 어떻게 막을 것인지 대책을 마련한 셈이다.
일부 대학은 집중이수제 도입을 검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 학기 학점당 최소 15시간 이상’이라는 이수시간 기준을 지키는 선에서 수업일수를 줄이는 방식이다. 이를 집중 적용하면 15주가 아니라 15일 안에 끝낼 수 있다는 것이다. 수업기간을 연장하는 방식도 거론된다.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인 수업을 토요일까지로 확대해서 하루를 벌고, 주간 수업뿐 아니라 야간까지 강의를 하는 방식이다. 계절학기에 들을 수 있는 학점을 확대하겠다는 학교도 있다.
출결을 유연하게 해주겠다는 제안도 나왔다. 대부분의 의대는 현재 온라인 수업을 하는데, 출결을 매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학사 일정 마지막 날 체크하겠다는 설명이다. 이번 학기가 끝날 때까지만 수업을 들으면 그간 출결을 하지 않았어도 인정해주겠다는 뜻이다. 학기제에서 학년제 전환을 추진하는 학교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대 등 일부 대학에서는 의사국가시험 일정을 미루는 것을 검토해달라고 정부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는 국시 원서 접수 전까지 의학교육 평가인증에 따른 임상실습 시수(총 52주, 주당 36시간 이상)를 채우지 못할 수 있어서다. 국시를 치르지 못하면 내년에는 단 한 명의 의사도 배출되지 않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한 대학 관계자는 “대학들이 아무리 대책을 세워도 학생들이 돌아오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며 “의정 갈등 해결을 위한 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
12일 교육계에 따르면 의대를 운영 중인 전국 40개 대학은 교육부에 의정 갈등과 관련한 학사운영 방안을 마련해 제출했다. 교육부가 이달 초 △탄력적 학사운영 추진 계획 △예과 1학년 학사운영 관련 조치계획 △임상실습 수업 운영 관련 조치계획 △집단행동 강요 관련 상황 점검·대응 등을 요청한 데 따른 것이다. 사실상 의대생 집단유급을 어떻게 막을 것인지 대책을 마련한 셈이다.
일부 대학은 집중이수제 도입을 검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 학기 학점당 최소 15시간 이상’이라는 이수시간 기준을 지키는 선에서 수업일수를 줄이는 방식이다. 이를 집중 적용하면 15주가 아니라 15일 안에 끝낼 수 있다는 것이다. 수업기간을 연장하는 방식도 거론된다.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인 수업을 토요일까지로 확대해서 하루를 벌고, 주간 수업뿐 아니라 야간까지 강의를 하는 방식이다. 계절학기에 들을 수 있는 학점을 확대하겠다는 학교도 있다.
출결을 유연하게 해주겠다는 제안도 나왔다. 대부분의 의대는 현재 온라인 수업을 하는데, 출결을 매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학사 일정 마지막 날 체크하겠다는 설명이다. 이번 학기가 끝날 때까지만 수업을 들으면 그간 출결을 하지 않았어도 인정해주겠다는 뜻이다. 학기제에서 학년제 전환을 추진하는 학교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대 등 일부 대학에서는 의사국가시험 일정을 미루는 것을 검토해달라고 정부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는 국시 원서 접수 전까지 의학교육 평가인증에 따른 임상실습 시수(총 52주, 주당 36시간 이상)를 채우지 못할 수 있어서다. 국시를 치르지 못하면 내년에는 단 한 명의 의사도 배출되지 않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한 대학 관계자는 “대학들이 아무리 대책을 세워도 학생들이 돌아오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며 “의정 갈등 해결을 위한 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