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특명…"8300만명 쓰는 동남아 핫'라인' 지켜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라인협상 주요 쟁점으로 떠오른 '라인플러스'
일본 제외한 태국·대만·印尼 등
해외 서비스 담당 '라인플러스'
'알짜' 동남아사업·핵심기술 보유
라인야후 자회사가 지분 100%
경영권 뺏기면 기술·경험 내줘야
韓직원 2500명 일자리 잃을수도
일본 제외한 태국·대만·印尼 등
해외 서비스 담당 '라인플러스'
'알짜' 동남아사업·핵심기술 보유
라인야후 자회사가 지분 100%
경영권 뺏기면 기술·경험 내줘야
韓직원 2500명 일자리 잃을수도
라인야후의 경영권을 두고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협상을 벌이는 가운데 라인야후의 한국 법인인 라인플러스가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라인플러스는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일본을 제외한 지역의 라인 서비스를 책임지는 회사다. 라인을 기반 삼아 해외 사업을 펼치는 네이버 입장에선 라인플러스의 주도권을 소프트뱅크에 넘길 경우 해외 사업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이 회사는 라인야후의 자회사인 Z인터미디어트글로벌(옛 라인코퍼레이션)이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라인 캐릭터 지식재산(IP) 사업을 하는 IPX(전 라인프렌즈)의 지분 70%를 보유한 것은 물론 라인게임즈(35.7%), 네이버제트(18.8%)의 주요 주주다.
라인플러스 밑으로 미국 중국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해외 법인이 속해 있다. 라인 이용자는 일본이 9600만 명(작년 1월 기준 월간활성이용자)으로 가장 많지만, 태국(5500만 명), 대만(2200만 명), 인도네시아(600만 명)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주요 메신저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 라인플러스는 네이버의 이미지 인공지능(AI) 전문 자회사 스노우의 지분 10%도 보유 중이다.
라인플러스는 라인에 적용되는 각종 서비스와 핵심 기술을 개발하는 역할도 맡고 있다. 2019년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라인, 야후재팬의 경영 통합을 결정할 당시 경영은 소프트뱅크, 기술과 서비스는 네이버가 맡기로 한 것 역시 이 때문이다. 이용자가 2억 명에 이르는 메신저를 개발하고 운영하면서 쌓은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 때문에 업계에선 네이버가 A홀딩스 지분을 내주는 최악의 상황이 오더라도 라인플러스 지배권은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일본 이외 시장의 비즈니스를 이어가는 것은 물론 라인 서비스의 핵심 기술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라인플러스 직원들 사이에선 네이버가 라인야후 경영권을 잃을 경우 사업 방향성이 바뀌는 것은 물론 고용이 보장되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라인플러스를 포함한 라인 계열사의 한국법인 직원 수는 2500여 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라인플러스 초기 멤버 대다수는 네이버 출신”이라며 “직원들로선 소프트뱅크보다 네이버에 대한 유대감이 더 큰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라인플러스는 14일 이은정 라인플러스 대표 등 경영진이 최근 사태와 현안을 직접 설명하는 내부 설명회를 열 예정이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핵심 기술 보유한 라인플러스
13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라인플러스는 2013년 라인의 글로벌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한국에 설립됐다. 30여 개국에 이르는 다양한 국적의 직원들이 일본을 제외한 전 세계를 대상으로 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개발자들이 선호하는 회사의 앞 글자를 딴 ‘네카라쿠배’의 ‘라’에 해당하는 회사이기도 하다.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연결기준 2022년(2022년 4월~2023년 3월) 매출은 8779억원, 영업이익은 718억원이다.이 회사는 라인야후의 자회사인 Z인터미디어트글로벌(옛 라인코퍼레이션)이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라인 캐릭터 지식재산(IP) 사업을 하는 IPX(전 라인프렌즈)의 지분 70%를 보유한 것은 물론 라인게임즈(35.7%), 네이버제트(18.8%)의 주요 주주다.
라인플러스 밑으로 미국 중국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해외 법인이 속해 있다. 라인 이용자는 일본이 9600만 명(작년 1월 기준 월간활성이용자)으로 가장 많지만, 태국(5500만 명), 대만(2200만 명), 인도네시아(600만 명)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주요 메신저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 라인플러스는 네이버의 이미지 인공지능(AI) 전문 자회사 스노우의 지분 10%도 보유 중이다.
라인플러스는 라인에 적용되는 각종 서비스와 핵심 기술을 개발하는 역할도 맡고 있다. 2019년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라인, 야후재팬의 경영 통합을 결정할 당시 경영은 소프트뱅크, 기술과 서비스는 네이버가 맡기로 한 것 역시 이 때문이다. 이용자가 2억 명에 이르는 메신저를 개발하고 운영하면서 쌓은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다.
“2500여 명 한국 직원 고용 우려”
현재 네이버와 소프트뱅크는 라인야후의 최대주주인 A홀딩스 지분을 두고 협상하고 있다. 양측이 지분을 50%씩 보유한 상황에서 소프트뱅크가 지분을 추가 매입할 경우 라인플러스 지배권도 소프트뱅크로 넘어간다.이 때문에 업계에선 네이버가 A홀딩스 지분을 내주는 최악의 상황이 오더라도 라인플러스 지배권은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일본 이외 시장의 비즈니스를 이어가는 것은 물론 라인 서비스의 핵심 기술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라인플러스 직원들 사이에선 네이버가 라인야후 경영권을 잃을 경우 사업 방향성이 바뀌는 것은 물론 고용이 보장되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라인플러스를 포함한 라인 계열사의 한국법인 직원 수는 2500여 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라인플러스 초기 멤버 대다수는 네이버 출신”이라며 “직원들로선 소프트뱅크보다 네이버에 대한 유대감이 더 큰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라인플러스는 14일 이은정 라인플러스 대표 등 경영진이 최근 사태와 현안을 직접 설명하는 내부 설명회를 열 예정이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