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품·골드바로 재산 은닉…국세청, 641명 강제징수 착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양동훈 국세청 징세법무국장이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미술품, 귀금속 등으로 신종 투자상품으로 재산을 숨기고 상속재산을 은닉한 고액체납자에 대한 재산추적조사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 뉴스1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405/01.36710535.1.jpg)
보유하고 있던 토지를 양도한 B씨도 충분한 납부 여력이 있음에도 양도소득세를 내지 않았다. B씨는 자기 모친이 보유한 고가 아파트를 추후 상속받을 경우 과세관청이 이를 압류할 것으로 예상했다. B씨는 모친이 사망하자 형제·자매 등 다른 상속인과 짜고 아파트에 대한 본인의 상속 지분을 포기했다. 대신 다른 상속인으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현금을 자신의 배우자에게 지급하는 방식으로 재산을 은닉했다.
국세청이 고가 미술품 거래로 재산을 은닉하거나 상속 포기를 위장하는 등의 수법을 앞세워 압류를 회피한 악성 체납자 641명을 상대로 강제 징수에 착수했다고 14일 발표했다. 부문별로 보면 △미술품·귀금속·신종 투자상품 등으로 재산을 숨긴 41명 △상속재산이나 골프 회원권 등 각종 재산권을 지능적인 수법으로 빼돌린 285명 △고가주택 거주·고급차량 운행 등 호화롭게 생활하는 315명 등이다.
이번 조사 대상에는 공부(公簿)상 확인이 어려운 고가의 동산을 다른 사람의 명의로 구입하거나, 새로 나온 투자상품에 가입하는 방식 등으로 재산을 은닉한 체납자가 포함됐다. 구체적으로는 가족이나 지인의 명의를 이용해 미술품·귀금속(골드바 등)·개인금고 등을 구입하거나, 신종 투자상품인 미술품 위탁 임대·음원 수익증권 등에 투자해 재산을 은닉한 이들이 조사대상자로 선정됐다.
![미술품·골드바로 재산 은닉…국세청, 641명 강제징수 착수](https://img.hankyung.com/photo/202405/01.36710541.1.jpg)
국세청은 올해 초까지만 해도 체납자가 직접 팔아 현금화하기 전까지 과세당국이 체납액에 충당할 수 없었던 압류 가상자산에 대한 매각·징수도 본격화했다. 국세청은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이달부터 압류한 가상자산을 직접 매각해 체납 세금을 징수하고 있다.
지금까지 과세당국은 일반 법인과 마찬가지로 가상자산거래소 계좌 개설 등이 어려워 체납자 본인이 압류 재산을 스스로 매각해 현금화하지 않으면 강제 징수를 할 수 없었다. 국세청이 2021년부터 압류한 가상자산은 1080억원이다. 이 중 5월 전까지 현금화해 강제 징수하지 않은 가상자산은 134억원가량이다.
국세청은 이달 11억원 상당의 압류 가상자산을 매각해 현금화했다. 아직 매각하지 않은 123억원 상당의 가상자산도 순차적으로 현금화해 징수할 방침이다.
양동훈 국세청 징세법무국장은 “앞으로도 국세청은 고액·상습 체납자의 재산을 끝까지 추적·징수함으로써 조세 정의를 실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