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부문 초청 ‘제로(0)’…'황금종려상'에서 멀어진 K-무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77회 칸 국제영화제 14일 개막
경쟁부문 초청작 22편 중 韓영화 없어
비경쟁부문 등에서 3편만 초청
경쟁부문 초청작 22편 중 韓영화 없어
비경쟁부문 등에서 3편만 초청
![제77회 칸국제영화제 공식 포스터. /칸국제영화제 집행위](https://img.hankyung.com/photo/202405/01.36711659.1.png)
![경쟁부문 초청 ‘제로(0)’…'황금종려상'에서 멀어진 K-무비](https://img.hankyung.com/photo/202405/01.36711828.1.jpg)
소문난 잔치, K-무비는 단 3편만
이번 칸영화제에선 한국 영화는 비경쟁부문으로 두 편의 작품이 초대받았다. 대중성과 상업성, 장르성을 갖춘 작품을 소개하는 ‘미드나잇 스크리닝’ 섹션에 류승완 감독의 ‘베테랑2’가 선정됐고, 한국 영화의 산증인 김동호 전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청년, 동호’가 ‘칸 클래식’ 부문에 소개된다.![칸영화제 미드나잇 스크린에 초청된 베테랑2 스틸컷. /칸영화제](https://img.hankyung.com/photo/202405/01.36711691.1.jpg)
전도유망한 신예 감독의 작품이 소개되고, ‘베테랑2’ 주연인 배우 황정민과 함께 정해인이 생애 첫 레드카펫을 밟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영화계 안팎에선 아쉽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년째 경쟁부문 진출작이 없고 예년과 비교하면 초청 작품 규모도 줄었기 때문이다.
2000년 임권택 감독의 ‘춘향뎐’이 처음 경쟁부문에 초청된 이후 한국 영화는 경쟁 부문에 19편의 작품을 올렸다.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이 황금종려상을 받은 2019년을 기점으로 한국영화 활약은 더 두드러졌다. 2022년엔 경쟁부문 초청작 22편 중 한국 영화(‘헤어질 결심’ ‘브로커’)가 두 편이나 이름을 올리고, 배우 송강호가 남우주연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지난해 칸영화제의 경우 경쟁부문 초청작은 없었지만, 김지운 감독의 ‘거미집’이 비경쟁부문에 초청되고, 홍상수 감독의 ‘우리의 하루’가 감독주간 폐막작으로 선정되는 등 7편에 이르는 한국 작품이 소개됐다.
![칸영화제 '칸클래식' 섹션에 초청된 '영화 청년, 동호' 포스터. /칸영화제 집행위](https://img.hankyung.com/photo/202405/01.36708479.1.jpg)
韓영화 흥망성쇠, 칸이 정답은 아니지만…
물론 경쟁부문 초청작이 없다고 해서 한국영화 수준이 떨어진다고 볼 순 없다. 봉준호 감독의 8번째 장편으로 개봉 시기가 내년으로 밀린 ‘미키17’이 예정대로 올해 3월 개봉했다면 어렵지 않게 칸 무대를 밟았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또 ‘서울의 봄’, ‘파묘’ 등이 국내에서 1000만 고지에 오르는 등 칸영화제 초청 여부만으로 판단할 수 없는 성과도 있다.그러나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면서 영화 생태계 전반이 위축된 결과가 이번 칸영화제에 드러났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영화계 관계자는 “작품성이 중요한 칸영화제에서 한국영화 입지가 줄었다는 게 무얼 의미하는가를 봐야 한다”고 했다. 안전한 상업영화가 주로 제작되다 보니, 영화적 완성도를 갖춘 작품이 나오기 힘든 환경이 됐다는 뜻이다.
실제로 코로나19 이후 한국 극장가는 한두 편의 작품만 살아남는 구조가 굳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개봉 3주 만에 1000만 돌파를 앞둔 영화 ‘범죄도시 4’가 대표적이다.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등 영화 단체들이 지난 전주국제영화제 기간에 개최한 ‘한국 영화 생태계 복원을 위한 토론회’에선 대형 상업영화의 스크린 독과점에 대한 비판과 함께 “해도 해도 너무한다. 한두 편만 살아남고 다 죽는 판”이라는 성토가 나오기도 했다. 임유리 감독은 “푸드트럭에서 부담 없이 여러 메뉴를 사 먹을 수 있듯, 더 다양한 영화들이 극장에 진열되면 좋겠다”고 했다.
올해 칸 영화제에서는 1970년대 황금종려상을 두 차례 거머쥔 미국의 거장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이 신작 ‘메갈로폴리스’로 귀환했다. 이란 감독 알리 압바시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의 젊은 시절을 그려 주목받은 ‘어프렌티스’, 아시아 감독 중 유일하게 경쟁부문에 오른 중국 지아장커 감독의 ‘코트 바이 더 타이즈’ 등도 눈에 띈다. 그레타 거윅, 릴리 글래드스턴, 에바 그린, 고레에다 히로카즈 등 경쟁부문 심사위원진도 면면도 하나같이 화려하다.
유승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