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민용 애널 "약물전달기술 특화된 '플랫폼 바이오'강국 기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 하반기 전망 자료
SC제형, ADC, BBB, 펩타이드 등 원천기술 보유기업 주목을
SC제형, ADC, BBB, 펩타이드 등 원천기술 보유기업 주목을

CDMO, 시밀러 이을 K-바이오 새로운 성장 동력은
엄 연구위원은 먼저 "2015년 한미약품 이후로 우리나라는 CDMO, 바이오시밀러, 신약 산업에 집중했지만 진짜 성과를 나타내고 있는 산업은 ‘플랫폼 바이오’비즈니스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과거 제약·바이오 섹터는 기술이전 반환 사례, 임상 실패 및 자의적 해석 문제로 신뢰를 잃어왔지만, 지금은 다르다"고 했다.
알테오젠, 한올, 리가켐 등 하반기 주목해야
한올바이오파마는 자체 개발한 항FcRn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를 전 세계 유일하게 자가투여 가능한 SC제형으로 출시한다. 2017년 나스닥 상장사이자 로이반트 자회사인 이뮤노반트(IMVT)에 5억 달러 규모 기술이전했고 첫번째 후속물질 IMVT-1401가 중증근무력증(MG)으로 중국에서 임상 3상에 성공했다. 미국은 임상 3상 결과가 하반기 발표 예정이다. IMVT-1401의 알부민 수치 감소에 따른 콜레스테롤 수치 상승 부작용을 없앤 두 번째 후속물질 IMVT-1402가 2023년 9월 실제 부작용이 사라진 임상 1상 결과를 발표했다. 당일 이뮤노반트 주가는 97% 올랐다. 이 회사는 한올바이오파마로부터 도입한 기술 외에 다른 기술은 없는 회사다. 엄 연구위원은 "한올바이오파마는 IMVT-1402가 경쟁사 아제넥스 대비 계열 내 최고 약물(best-in-class)로 굳힐 수 있는 류마티스관절염과 그레이브스병의 임상 2상 없는 3상 진입이 지켜질지 기대된다"고 했다.에이비엘바이오는 사노피와 혈뇌장벽(BBB) 전달 플랫폼을 이용한 파킨슨병 치료제 ABL301을 1조3000억원 규모에 기술이전했다. 계약금과 단기 마일스톤으로만 1600억원을 수령했다. 리가켐바이오도 1세대 ADC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2세대 ADC 링커(ADC 전달 플랫폼)가 적용된 LCB84 물질을 존슨앤드존슨(J&J)에 2조2000억원 규모 기술이전 했다. 엄 연구위원은 "리가켐바이오의 하반기 3개 ADC가 추가 IND 신청으로 임상 진입이 임박한 가운데 새롭게 추가될 빅파마 기술이전이 연내 나와줄 수 있을 것인지 주목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또 "에이비엘바이오는 뇌투과 기술이 적용된 사노피 파킨슨병 치료제 ABL301 외 파이프라인의 90% 이상이 이중항체 항암제로 구성돼 있다"며 "ABL503 ASCO학회 임상 결과 발표 이후 구체적인 논의가 기대되는 가운데 항암제 라인에서 빅파마 추가 기술이전을 통해 다수 항암제 파이프라인이 검증될지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셀트리온, 경구용 바이오시밀러 시대 열까
특히 정맥투여(IV)에 이어 SC, 경구제로 새로운 약물전달 방법을 통해 차별화된 바이오베터를 상업화하는 경쟁력을 확보한 기업으로 셀트리온을 주목했다. 엄 연구위원은 "미국 내 짐펜트라(램시마SC) 매출액으로 큰 폭 성장을 앞두고 있다"며 "주목할 만한 부분은 최근 라니와 스텔라라라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를 경구용 바이오시밀러로 임상에 성공한 점"이라고 강조했다. 또 "주사를 이용해 투약하는 항체 의약품을 경구로 전달하는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플랫폼 바이오에 이어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는 분야로는 펩타이드 시장을 꼽았다. 비만치료제와 방사성동위원소 전달체로 펩타이드가 이용되며 기술의 첫 전성기가 다가오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는 "젭바운드, 마운자로 등이 글로벌 메가버스터 급 매출을 일으키고 있고 1개월 이상의 지속형 주사제 개발 또한 가속화되고 있어 펩타이드 기반의 비만치료제 성장은 지속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최근 일라이릴리, 노보노디스크가 독점하고 있는 비만치료제 영역에서도 국내 펩트론이 1개월 지속형 비만치료제 개발을 이뤄낼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며 "만약 펩트론까지 성공한다면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매출액을 가진 키트루다와 앞으로 가장 높은 매출액을 보일 것으로 기대되는 비만치료제까지 개발하는 국가가 되는 것"이라고 했다.
펩타이드, 방사성동위원소 의약품 사업도 주목해야
마지막으로 ADC만큼이나 주목받고 있는 방사성동위원소 의약품(RLT) 사업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글로벌 빅파마들이 기술이전 또는 인수합병을 수조 원 규모로 진행하고 있다. 노바티스가 엔도사이트를 21억 달러에 인수했고, 일라이릴리가 포인트바이오파마를 14억 달러에, BMS가 레이즈바이오를 41억 달러에, 아스트라제네카가 퓨전파마슈티컬스를 24억 달러에 각각 인수했다.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