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궁합" "나쁜 하룻밤"…초등생 딸 휴대폰 봤다가 '충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체·15세 관람가’에서 성관계 묘사
규제 사각지대에 놓인 '웹소설'
선정적 작품 가득한데...나이 인증 없이도 접속 가능
10대 학생 2명 중 1명은 웹소설 독자
"청소년에게 왜곡된 성관념 심을 수 있어"
규제 사각지대에 놓인 '웹소설'
선정적 작품 가득한데...나이 인증 없이도 접속 가능
10대 학생 2명 중 1명은 웹소설 독자
"청소년에게 왜곡된 성관념 심을 수 있어"
경기 고양시에 사는 이모 씨(43)는 최근 초등학생 딸이 접속한 웹소설 사이트를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 화면에는 미성년자가 접하기엔 부적절한 그림들로 가득 차 있었기 때문이다. 이 씨는 딸에게 "이런 건 어린이가 보면 안 된다"고 타일렀지만, 딸은 "반 친구들도 다 보는데 왜 나만 안 되냐"고 되물었다.
국내 웹소설 플랫폼 연재작품의 상당수가 성관계를 묘사하거나 불건전한 이성 관계를 다루는데도 '15세 이용가' 혹은 '전체이용가'로 지정된 것으로 파악됐다. 선정적인 내용이 여과 없이 노출되고 있어 어린이·청소년에게 잘못된 가치관을 심어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B플랫폼 랭킹 페이지에는 걸린 작품 제목을 보니 '부부 궁합', '나쁜 하룻밤', '한 번 말고 여러번' 등 남녀 간의 성관계를 연상시키는 제목이 대부분이었다. 세 작품 모두 전체 이용가로, 별도 나이 인증 없이도 접속할 수 있다.
B플랫폼은 웹소설 사업으로 연 매출 200억 원 이상을 올리고 있는 회사다. 청소년보호 책임자를 2명 두고 있다. 본지는 B사와 B사 청소년보호 책임자에게 해명을 듣기 위해 여러 차례 연락을 시도했지만 답을 받지 못했다.
여타 플랫폼의 상황도 별반 다르지 않다. 월평균 이용자가 120만 명이 넘는 웹소설 플랫폼 R에 게재된 한 작품엔 남자 주인공이 배우자에게 강제로 스킨십하는 장면이 담겨 있다. 여자 주인공은 이 상황이 '비참했다'고 하는 반면 남자 주인공은 '묘한 쾌감을 느꼈다'고 묘사돼 있다. 해당 작품은 '15세 연령가'로 지정돼 중학교 3학년 학생부터 읽을 수 있다.
B·R사 사례처럼 후발 주자인 웹소설 플랫폼들은 수익 창출을 위해 선정성을 앞세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내 웹소설 플랫폼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경쟁이 치열해졌기 때문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해 발표한 '2022 웹소설 산업 현황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웹소설 시장 규모는 1조390억원으로 2년 만에 62% 늘어났다. 네이버 웹소설과 카카오페이지 등 대형 플랫폼은 물론 리디북스, 조아라, 문피아 등 플랫폼이 자리를 잡은 상태다.
중소 플랫폼들이 독자 유입을 늘리기 위해 작가들에게 성적으로 자극적인 소재를 장려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웹소설 작가로 등단한 경험이 있는 한모 씨(26)는 "한 중소 플랫폼에 소설을 연재하기 위해 원고를 보냈는데 편집자로부터 '계약 후엔 더 19금 쪽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피드백을 받은 적이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미성년자들이 이같은 선정적인 작품들에 무방비하게 노출되어 있다는 점이다. 특히 웹소설은 청소년에게 인기가 높다. 문체부의 2023년 국민 독서 실태 조사에서 '최근 1년간 경험한 읽기 관련 활동'으로 초·중·고교 학생의 49.9%가 '웹소설'을 꼽았을 정도다.
청소년을 보호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은 콘텐츠 연령 등급 체계지만 이마저도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다. '전체 이용가', '15세 이상 이용가, '19세 이상 이용가'로 나누는 기준이 플랫폼 자율에 맡겨져 있기 때문이다. 등급 체계는 기본적으로 간행물윤리위원회 심의 기준을 바탕으로 하지만, 강제성이 없는 권고에 그친다. 플랫폼마다 등급 선정 기준이 다르고, 나이 인증을 받는 곳도 드물다.
특히 대부분 중소 플랫폼의 등급 체계는 부실하기 짝이 없다는 지적이다. 간행물윤리위원회 관계자는 "대기업의 경우 사회적 책임과 위상이 있다 보니 자율 규제에 더 노력을 기울이는 편이지만, 중소 플랫폼은 수익성을 쫓는 경향이 더 강하다"고 설명했다.
청소년의 음란 영상물 접속이 철저하게 관리되는 것과는 달리 웹소설은 규제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비판도 있다. 영상 콘텐츠의 경우 2012년 정부가 발표한 '청소년 유해음란물 차단대책'에 따라 청소년을 보호한다. 웹하드 업체가 음란물 차단 대책을 갖춰 성인 인증을 받아야 콘텐츠를 내려받을 수 있도록 한 조치가 대표적 사례다. 웹소설 플랫폼엔 이런 규제가 없다.
전문가들은 선정적인 웹소설이 청소년의 가치관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운경 이화여대 아동학과 교수는 "청소년기는 인간관계에 대해 배워 나가는 시기"라며 "강압적인 스킨십에 대한 묘사 등 선정적인 내용이 많은 웹소설은 왜곡된 이성 관계에 대한 메시지를 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신민향 학생학부모교사인권보호연대 대표는 "미성년자는 소비자보다는 보호해야 할 대상으로 봐야 한다"며 "영상음란물에 대한 규제가 있듯이 청소년을 선정적인 웹소설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다빈 기자 davinci@hankyung.com
'부부 궁합', '나쁜 하룻밤'...웹소설 플랫폼, 선정적 콘텐츠로 가득
17일 한국경제신문 취재 결과 B웹소설 플랫폼의 '랭킹 페이지'에는 남녀의 신체를 적나라하게 묘사한 다수의 그림이 걸려 있었다. 랭킹 페이지는 연재 작품을 인기 순으로 나열해 보여준다. 웹소설 일러스트에는 한 여성의 두 팔목을 잡은 채 벽으로 몰아세우고 있는 남성, 반라의 남성의 무릎 위에 앉아 있는 한 여성 등이 나타나있었다.B플랫폼 랭킹 페이지에는 걸린 작품 제목을 보니 '부부 궁합', '나쁜 하룻밤', '한 번 말고 여러번' 등 남녀 간의 성관계를 연상시키는 제목이 대부분이었다. 세 작품 모두 전체 이용가로, 별도 나이 인증 없이도 접속할 수 있다.
B플랫폼은 웹소설 사업으로 연 매출 200억 원 이상을 올리고 있는 회사다. 청소년보호 책임자를 2명 두고 있다. 본지는 B사와 B사 청소년보호 책임자에게 해명을 듣기 위해 여러 차례 연락을 시도했지만 답을 받지 못했다.
여타 플랫폼의 상황도 별반 다르지 않다. 월평균 이용자가 120만 명이 넘는 웹소설 플랫폼 R에 게재된 한 작품엔 남자 주인공이 배우자에게 강제로 스킨십하는 장면이 담겨 있다. 여자 주인공은 이 상황이 '비참했다'고 하는 반면 남자 주인공은 '묘한 쾌감을 느꼈다'고 묘사돼 있다. 해당 작품은 '15세 연령가'로 지정돼 중학교 3학년 학생부터 읽을 수 있다.
B·R사 사례처럼 후발 주자인 웹소설 플랫폼들은 수익 창출을 위해 선정성을 앞세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내 웹소설 플랫폼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경쟁이 치열해졌기 때문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해 발표한 '2022 웹소설 산업 현황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웹소설 시장 규모는 1조390억원으로 2년 만에 62% 늘어났다. 네이버 웹소설과 카카오페이지 등 대형 플랫폼은 물론 리디북스, 조아라, 문피아 등 플랫폼이 자리를 잡은 상태다.
중소 플랫폼들이 독자 유입을 늘리기 위해 작가들에게 성적으로 자극적인 소재를 장려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웹소설 작가로 등단한 경험이 있는 한모 씨(26)는 "한 중소 플랫폼에 소설을 연재하기 위해 원고를 보냈는데 편집자로부터 '계약 후엔 더 19금 쪽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피드백을 받은 적이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미성년자들이 이같은 선정적인 작품들에 무방비하게 노출되어 있다는 점이다. 특히 웹소설은 청소년에게 인기가 높다. 문체부의 2023년 국민 독서 실태 조사에서 '최근 1년간 경험한 읽기 관련 활동'으로 초·중·고교 학생의 49.9%가 '웹소설'을 꼽았을 정도다.
있으나 마나 한 '등급 체계'..왜곡된 성관념 심는 웹소설
청소년을 보호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은 콘텐츠 연령 등급 체계지만 이마저도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다. '전체 이용가', '15세 이상 이용가, '19세 이상 이용가'로 나누는 기준이 플랫폼 자율에 맡겨져 있기 때문이다. 등급 체계는 기본적으로 간행물윤리위원회 심의 기준을 바탕으로 하지만, 강제성이 없는 권고에 그친다. 플랫폼마다 등급 선정 기준이 다르고, 나이 인증을 받는 곳도 드물다.
특히 대부분 중소 플랫폼의 등급 체계는 부실하기 짝이 없다는 지적이다. 간행물윤리위원회 관계자는 "대기업의 경우 사회적 책임과 위상이 있다 보니 자율 규제에 더 노력을 기울이는 편이지만, 중소 플랫폼은 수익성을 쫓는 경향이 더 강하다"고 설명했다.
청소년의 음란 영상물 접속이 철저하게 관리되는 것과는 달리 웹소설은 규제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비판도 있다. 영상 콘텐츠의 경우 2012년 정부가 발표한 '청소년 유해음란물 차단대책'에 따라 청소년을 보호한다. 웹하드 업체가 음란물 차단 대책을 갖춰 성인 인증을 받아야 콘텐츠를 내려받을 수 있도록 한 조치가 대표적 사례다. 웹소설 플랫폼엔 이런 규제가 없다.
전문가들은 선정적인 웹소설이 청소년의 가치관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운경 이화여대 아동학과 교수는 "청소년기는 인간관계에 대해 배워 나가는 시기"라며 "강압적인 스킨십에 대한 묘사 등 선정적인 내용이 많은 웹소설은 왜곡된 이성 관계에 대한 메시지를 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신민향 학생학부모교사인권보호연대 대표는 "미성년자는 소비자보다는 보호해야 할 대상으로 봐야 한다"며 "영상음란물에 대한 규제가 있듯이 청소년을 선정적인 웹소설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다빈 기자 davinc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