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올해 세계경제성장률 2.7%로 0.3%p↑…韓 2.2%로 0.2%p↓"(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24 세계경제 상황과 전망 중간 업데이트' 보고서…내년 성장률 2.8% 전망
"한은, 불확실한 인플레 전망으로 통화완화 정책 전환에 신중" 유엔이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7%로 넉 달 전보다 소폭 올린 반면 한국은 2.2%로 조금 낮춰 잡았다.
유엔 경제사회국(DESA)은 16일(현지시간) 공개한 '2024 세계 경제 상황과 전망 중간 업데이트'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이 1월 보고서에서 예상한 2.4%보다 0.3%포인트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경제사회국은 미국과 함께 브라질, 인도, 러시아 등 주요 신흥국 상황이 나아졌다면서 이같이 밝혔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작년과 같은 수준이며, 2020년 코로나19 사태가 시작하기 전의 3%에 비하면 낮다.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2.8%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별로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2.3%로 1월 전망(1.4%)보다 0.9%포인트 높아졌다.
미국은 일자리 증가, 실질 임금 상승이 계속되고 중산층 이상 가계의 자금 사정이 좋아지면서 소비가 지탱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4.8%로 넉달 전(4.7%)에 비해 1%포인트 올라갔다.
코로나19 이후 폭발한 수요가 대체로 사라졌으나 정부 부양책이 공공 인프라 투자와 전략 산업 투자를 늘릴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부동산 업종은 상당히 큰 하방 위험으로 지적됐다.
한국은 올해 경제 성장률이 2.2%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1월 전망 때보다 0.2%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보고서는 한국은행이 불확실한 인플레이션 전망으로 인해 통화 완화 정책으로 전환하는 데 대해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럽연합(EU)과 영국은 지난해 성장이 거의 정체된 데 이어 올해는 다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됐다.
인플레이션 약화, 강한 임금 상승, 중앙은행 금리 인하 전망이 단기적으로 자극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집트, 나이지리아 등 아프리카의 성장률은 3.3%로 연초 전망치보다 0.2%포인트 내려갈 것으로 예상됐다.
경제사회국은 세계 주요국이 실업 상승이나 경기침체를 유발하지 않고 물가 상승률을 낮추긴 했지만 낙관적 전망은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세계 경제 위험 요인으로는 고금리 장기화, 부채 부담, 지정학적 긴장 지속, 세계 최빈국과 군소 도서국의 기후 위험을 꼽았다.
인공지능(AI) 등 기술의 눈부신 변화는 세계 경제에 새로운 기회이자 위험이라고 진단했다.
생산성 확대와 기술 격차 확대 및 노동시장 재편 가능성이 동시에 있기 때문이다.
또 인플레이션은 세계 경제 기저에 깔린 취약성의 증상인 동시에 그 자체로도 우려 요인으로 제시됐다.
경제사회국의 샨타누 무케르지 경제분석정책 부문 국장은 기자회견에서 "일부 국가에서 인플레이션이 계속 높다"며 "세계적으로 에너지, 식료품 가격이 최근 몇개월간 올라가고 있는데 더 걱정되는 점은 여러 선진국에서 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중앙은행의 목표치인 2%를 넘는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달 중순 올해와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이 3.2%로 작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달 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세계 경제 성장률을 올해 3.1%, 내년 3.2%로 예상했다.
/연합뉴스
"한은, 불확실한 인플레 전망으로 통화완화 정책 전환에 신중" 유엔이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7%로 넉 달 전보다 소폭 올린 반면 한국은 2.2%로 조금 낮춰 잡았다.
유엔 경제사회국(DESA)은 16일(현지시간) 공개한 '2024 세계 경제 상황과 전망 중간 업데이트'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이 1월 보고서에서 예상한 2.4%보다 0.3%포인트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경제사회국은 미국과 함께 브라질, 인도, 러시아 등 주요 신흥국 상황이 나아졌다면서 이같이 밝혔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작년과 같은 수준이며, 2020년 코로나19 사태가 시작하기 전의 3%에 비하면 낮다.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2.8%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별로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2.3%로 1월 전망(1.4%)보다 0.9%포인트 높아졌다.
미국은 일자리 증가, 실질 임금 상승이 계속되고 중산층 이상 가계의 자금 사정이 좋아지면서 소비가 지탱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4.8%로 넉달 전(4.7%)에 비해 1%포인트 올라갔다.
코로나19 이후 폭발한 수요가 대체로 사라졌으나 정부 부양책이 공공 인프라 투자와 전략 산업 투자를 늘릴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부동산 업종은 상당히 큰 하방 위험으로 지적됐다.
한국은 올해 경제 성장률이 2.2%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1월 전망 때보다 0.2%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보고서는 한국은행이 불확실한 인플레이션 전망으로 인해 통화 완화 정책으로 전환하는 데 대해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럽연합(EU)과 영국은 지난해 성장이 거의 정체된 데 이어 올해는 다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됐다.
인플레이션 약화, 강한 임금 상승, 중앙은행 금리 인하 전망이 단기적으로 자극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집트, 나이지리아 등 아프리카의 성장률은 3.3%로 연초 전망치보다 0.2%포인트 내려갈 것으로 예상됐다.
경제사회국은 세계 주요국이 실업 상승이나 경기침체를 유발하지 않고 물가 상승률을 낮추긴 했지만 낙관적 전망은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세계 경제 위험 요인으로는 고금리 장기화, 부채 부담, 지정학적 긴장 지속, 세계 최빈국과 군소 도서국의 기후 위험을 꼽았다.
인공지능(AI) 등 기술의 눈부신 변화는 세계 경제에 새로운 기회이자 위험이라고 진단했다.
생산성 확대와 기술 격차 확대 및 노동시장 재편 가능성이 동시에 있기 때문이다.
또 인플레이션은 세계 경제 기저에 깔린 취약성의 증상인 동시에 그 자체로도 우려 요인으로 제시됐다.
경제사회국의 샨타누 무케르지 경제분석정책 부문 국장은 기자회견에서 "일부 국가에서 인플레이션이 계속 높다"며 "세계적으로 에너지, 식료품 가격이 최근 몇개월간 올라가고 있는데 더 걱정되는 점은 여러 선진국에서 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중앙은행의 목표치인 2%를 넘는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달 중순 올해와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이 3.2%로 작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달 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세계 경제 성장률을 올해 3.1%, 내년 3.2%로 예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