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우리나라 기업부채가 지난해 말 기준 2,700조원을 넘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그 가운데 GDP대비 부동산업 대출이 주요 선진국 대비 크게 웃돌아, 앞으로 금융기관의 신용공급이 부동산업에 집중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김채영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 기업부채는 2,734조원.

국내 기업부채는 6년 동안 총 1,036조원 증가했는데 명목 성장률(3.4%)을 웃도는 수준의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특히 부동산업 대출이 300조원 넘게 늘어 국내총생산(GDP)의 4분의 1을 차지합니다.

주요국과 비슷했던 우리나라의 GDP 대비 부동산업 대출 비중은 2022년 말 24%로 유로, 호주, 미국, 영국을 크게 웃도는 수준까지 높아졌습니다.

[류창훈 / 한국은행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과장 : 부동산 같은 경우에는 국가 경제의 자원 배분 측면에서 신용 공급 관점에서 봤을 때 약간 과도했던 측면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연체율도 오르고 있는 상황이니 유의해서 봐야 된다.]

따라서 앞으로 생산성이 높지 않은 부동산 부문 대출은 줄이고, 부동산 디레버리징 정책 필요성이 꾸준히 필요하단 의견입니다.

결국 기업부채의 총량 자체를 관리하기보다는 부동산 PF 대출 등 부문별로 관련 리스크를 줄여나가는 데 초점을 두고 대응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겁니다.

통화정책을 통한 기준금리 인하 또한 기업들의 부동산 대출 부실화를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유혜미 / 한양대 경제금융학과 교수 : 기준금리 인하가 본격화되면 부동산 시장도 조금 더 살아날 수 있는 여지가 있고 부동산 PF 대출을 정리를 하면서도 조금 더 회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국내외 통화정책 기조 전환 과정에서 금융기관의 신용공급이 부동산 부문으로 집중되지 않도록 거시건전성 정책을 통해 대응해나가야 한다는 조언입니다.

한국경제TV 김채영입니다.

영상편집 : 노수경

CG : 서조슈아


김채영기자 chaechae@wowtv.co.kr
‘경고등’ 켜진 기업부채 2,734조…부동산업 대출 ‘압도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