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네 '풀밭 위의 점심 식사' 나체 여성은 매춘부가 아니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arte] 전유신의 벨 에포크
마네 그림 속의 그 여자, 빅토린 뫼랑
마네 그림 속의 그 여자, 빅토린 뫼랑
에두아르 마네는 1863년에 ‘풀밭 위의 점심 식사’를 당시 파리에서 가장 권위 있는 전시회였던 살롱전에 출품하려 했지만 거절당했다. 양복을 단정하게 갖춰 입은 두 남성 사이에 누드의 여성을 배치해 작품이 외설적으로 보이는 데다 완성도 역시 떨어진다는 것이 낙선의 이유였다. 같은 해에 마네가 그린 ‘올랭피아’도 비평가와 대중으로부터 신랄한 비판을 받았다. 그림 속 여성이 매춘부인데다 여성의 몸을 이상화해 그리지 않고 지나치게 사실적으로 묘사했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풀밭 위의 점심 식사’와 ‘올랭피아’가 논란의 중심에 선 이유는 여러 가지를 들 수 있지만, 핵심은 그림 속 누드의 여성과 관련이 있다. 마네가 당시 얼굴이 잘 알려진 여성 매춘부를 모델로 했고 당당하게 정면을 응시하도록 그리는 바람에 남성 관객들을 불쾌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에 알려진 바와 같이 그림 속 여성은 실제로는 매춘부가 아니라 빅토린 뫼랑이라는 전문 모델이었다. 오늘은 마네 그림 속의 그 여자, 뫼랑의 이야기를 소개한다.
뫼랑은 16살 되던 해인 1860년에 토마스 쿠튀르라는 화가의 스튜디오에서 모델 일을 시작했고, 여성들을 모아 지도하던 그의 아틀리에에서 그림 수업도 받았다. 2년 뒤부터는 마네 작품의 모델로도 활동했다. 뫼랑은 모델이라는 직업 이외에도 바이올린과 기타 레슨을 하고 카페에서 연주도 하던 음악가였고, 캉캉 댄서로 해외 순회공연을 다니던 전문 무용가이기도 했다. 마네가 처음 그린 그의 모습 역시 ‘거리의 가수’라는 작품에 나오는 것처럼 음악가로서의 뫼랑이었다. 그러나 다음 해에 뫼랑은 마네의 그림 ‘풀밭 위의 점심 식사’와 ‘올랭피아’에서 누드의 여성으로 등장하면서 예상치 못한 유명세를 타게 된다. 마네는 인상주의 작가들의 리더로 불렸지만 정작 인상주의 미술전에는 한 번도 참여하지 않았고, 르네상스와 바로크 거장들의 고전적인 작품을 좋아한 작가이기도 했다. 20대에 유럽을 여행하면서 거장들의 작품을 학습했던 그였지만 이들의 작품을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도발적인 주제를 부각하며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마네는 르네상스 거장들의 회화를 바탕으로 한 ‘풀밭 위의 점심 식사’를 통해서는 당대에 센 강변에서 유희를 즐기던 젊은 남녀들의 방탕한 모습을 포착하고자 했다. 르네상스의 거장 티치아노의 ‘우르비노의 비너스’(1538)나 신고전주의의 대가 앵그르의 ‘그랑 오달리스크’(1814)를 연상시킨다는 평가를 받는 ‘올랭피아’ 역시 마네 자신이 살던 당대 파리의 밤 문화의 현장을 보여준다. 이로써 마네는 당대 파리의 근대적인 생활상을 그린 모던한 작가로 평가받게 되었지만, 그림 속의 뫼랑은 방탕한 여성이자 매춘부로 영원히 그림 속에 박제될 수밖에 없었다.
당시 직업을 가진 여성들은 대부분 하위계층이었고, 이들은 경제적인 이유로 매춘을 강요당하는 일도 비일비재했다. 가수나 무용가 등 오늘날에는 전문직으로 여겨지는 직업을 가지고 있는 여성이라 하더라도 당대에는 그저 생계를 위해 어떤 일도 마다하지 않을 하위계층의 만만한 여성으로 인식되었다. 카페의 가수이자 무용가로 얼굴이 어느 정도 알려져 있었던 뫼랑 역시 남성 관객들에게는 그런 존재로 인식되었다. 마네의 작품을 통해 당돌한 시선으로 자신을 응시하는 주인공으로 등장한 뫼랑은 남성 관객들에게는 불쾌한 대상일 뿐이었다. 마네 작품의 불편함은 고전적인 회화의 문법을 비튼 그의 작품 스타일이 지닌 생경함과 아는 여자 뫼랑의 조합에서 기인한 것이다. 뫼랑의 이야기가 여기에서 끝난다면 벨 에포크 시기 여성의 잔혹사를 다시 한번 꺼낸 것에 불과하겠지만, 흥미롭게도 이 이야기는 뫼랑이 화가가 되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뫼랑은 화가의 모델로 일하면서 계속 그림 수업을 받았고, 1879년에는 아카데미 보자르에도 입학했다. 여성이 정식 미술 대학인 아카데미 보자르에 입학하는 일은 당시로서는 흔치 않았다. 자신을 방탕한 여자이자 매춘부로 그렸던 마네와 같은 전시실에 작품이 걸리는 일도 여러 차례 있었다. 권위 있는 살롱전에도 네 차례나 참여했다. 1903년에는 프랑스 예술가 협회에도 가입 자격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런 활동 이력에도 불구하고 뫼랑은 여전히 마네 그림의 모델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지만, 벨 에포크 시기에 다양한 직업을 가진 여성으로 당당한 삶을 살았던 그의 이야기는 꽤 다양한 분야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2000년대 이후부터 최근까지 그녀를 주인공으로 한 소설들이 여러 차례 출간되기도 했다. 2021년에는 뫼랑의 자화상이 미국의 보스턴 미술관에 소장되면서 그의 작품에 대한 재평가도 시작되는 것처럼 보인다. 이 시기 여성 미술가들은 소수였지만 각자의 아름다운 시절, 벨 에포크를 만들어갔다. 지금 미국의 필라델피아 미술관에서는 이 시기를 대표하는 여성 작가 메리 카사트의 회고전이 열리고 있다. 카사트의 전시를 비롯해 벨 에포크 시기 여성 작가들의 활동이 더 많이 조명되기를 기대한다. 뫼랑 역시 마네의 모델이 아닌 자신만의 독자적인 삶을 영위한 여성이자 독립적인 화가로서의 활동이 더욱더 많이 알려질 수 있기를 바란다.
전유신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아르떼 쇼츠] 마네의 결혼이 11년이나 늦어진 이유는?
▶▶▶[관련 칼럼] 과외 선생님과 사랑에 빠진 18살…11년간 총각 행세했다는데 [성수영의 그때 그 사람들]
▶▶▶[관련 칼럼] 미술계를 발칵 뒤집어 놓은 마네[김희경의 7과 3의 예술]
뫼랑은 16살 되던 해인 1860년에 토마스 쿠튀르라는 화가의 스튜디오에서 모델 일을 시작했고, 여성들을 모아 지도하던 그의 아틀리에에서 그림 수업도 받았다. 2년 뒤부터는 마네 작품의 모델로도 활동했다. 뫼랑은 모델이라는 직업 이외에도 바이올린과 기타 레슨을 하고 카페에서 연주도 하던 음악가였고, 캉캉 댄서로 해외 순회공연을 다니던 전문 무용가이기도 했다. 마네가 처음 그린 그의 모습 역시 ‘거리의 가수’라는 작품에 나오는 것처럼 음악가로서의 뫼랑이었다. 그러나 다음 해에 뫼랑은 마네의 그림 ‘풀밭 위의 점심 식사’와 ‘올랭피아’에서 누드의 여성으로 등장하면서 예상치 못한 유명세를 타게 된다. 마네는 인상주의 작가들의 리더로 불렸지만 정작 인상주의 미술전에는 한 번도 참여하지 않았고, 르네상스와 바로크 거장들의 고전적인 작품을 좋아한 작가이기도 했다. 20대에 유럽을 여행하면서 거장들의 작품을 학습했던 그였지만 이들의 작품을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도발적인 주제를 부각하며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마네는 르네상스 거장들의 회화를 바탕으로 한 ‘풀밭 위의 점심 식사’를 통해서는 당대에 센 강변에서 유희를 즐기던 젊은 남녀들의 방탕한 모습을 포착하고자 했다. 르네상스의 거장 티치아노의 ‘우르비노의 비너스’(1538)나 신고전주의의 대가 앵그르의 ‘그랑 오달리스크’(1814)를 연상시킨다는 평가를 받는 ‘올랭피아’ 역시 마네 자신이 살던 당대 파리의 밤 문화의 현장을 보여준다. 이로써 마네는 당대 파리의 근대적인 생활상을 그린 모던한 작가로 평가받게 되었지만, 그림 속의 뫼랑은 방탕한 여성이자 매춘부로 영원히 그림 속에 박제될 수밖에 없었다.
당시 직업을 가진 여성들은 대부분 하위계층이었고, 이들은 경제적인 이유로 매춘을 강요당하는 일도 비일비재했다. 가수나 무용가 등 오늘날에는 전문직으로 여겨지는 직업을 가지고 있는 여성이라 하더라도 당대에는 그저 생계를 위해 어떤 일도 마다하지 않을 하위계층의 만만한 여성으로 인식되었다. 카페의 가수이자 무용가로 얼굴이 어느 정도 알려져 있었던 뫼랑 역시 남성 관객들에게는 그런 존재로 인식되었다. 마네의 작품을 통해 당돌한 시선으로 자신을 응시하는 주인공으로 등장한 뫼랑은 남성 관객들에게는 불쾌한 대상일 뿐이었다. 마네 작품의 불편함은 고전적인 회화의 문법을 비튼 그의 작품 스타일이 지닌 생경함과 아는 여자 뫼랑의 조합에서 기인한 것이다. 뫼랑의 이야기가 여기에서 끝난다면 벨 에포크 시기 여성의 잔혹사를 다시 한번 꺼낸 것에 불과하겠지만, 흥미롭게도 이 이야기는 뫼랑이 화가가 되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뫼랑은 화가의 모델로 일하면서 계속 그림 수업을 받았고, 1879년에는 아카데미 보자르에도 입학했다. 여성이 정식 미술 대학인 아카데미 보자르에 입학하는 일은 당시로서는 흔치 않았다. 자신을 방탕한 여자이자 매춘부로 그렸던 마네와 같은 전시실에 작품이 걸리는 일도 여러 차례 있었다. 권위 있는 살롱전에도 네 차례나 참여했다. 1903년에는 프랑스 예술가 협회에도 가입 자격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런 활동 이력에도 불구하고 뫼랑은 여전히 마네 그림의 모델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지만, 벨 에포크 시기에 다양한 직업을 가진 여성으로 당당한 삶을 살았던 그의 이야기는 꽤 다양한 분야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2000년대 이후부터 최근까지 그녀를 주인공으로 한 소설들이 여러 차례 출간되기도 했다. 2021년에는 뫼랑의 자화상이 미국의 보스턴 미술관에 소장되면서 그의 작품에 대한 재평가도 시작되는 것처럼 보인다. 이 시기 여성 미술가들은 소수였지만 각자의 아름다운 시절, 벨 에포크를 만들어갔다. 지금 미국의 필라델피아 미술관에서는 이 시기를 대표하는 여성 작가 메리 카사트의 회고전이 열리고 있다. 카사트의 전시를 비롯해 벨 에포크 시기 여성 작가들의 활동이 더 많이 조명되기를 기대한다. 뫼랑 역시 마네의 모델이 아닌 자신만의 독자적인 삶을 영위한 여성이자 독립적인 화가로서의 활동이 더욱더 많이 알려질 수 있기를 바란다.
전유신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아르떼 쇼츠] 마네의 결혼이 11년이나 늦어진 이유는?
▶▶▶[관련 칼럼] 과외 선생님과 사랑에 빠진 18살…11년간 총각 행세했다는데 [성수영의 그때 그 사람들]
▶▶▶[관련 칼럼] 미술계를 발칵 뒤집어 놓은 마네[김희경의 7과 3의 예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