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대법 "포스코, 소수노조 차별 안해"…노사 관행 변화 예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포스코, 민노총-한노총 타임오프 머릿수 싸움에
"공정대표 의무 위반" 소송 휘말렸다 1심 패소
2심 "회사는 소극적 의무만 있어" 첫 판결
대법도 심리불속행 기각... 교섭 관행 변화 '주목'
"공정대표 의무 위반" 소송 휘말렸다 1심 패소
2심 "회사는 소극적 의무만 있어" 첫 판결
대법도 심리불속행 기각... 교섭 관행 변화 '주목'

▶본지 12월 7일자 A25면 참조
이번 재판은 포스코의 '공정대표 의무'가 핵심 쟁점이 됐다. 노동조합법에서 규정하는 공정대표의무란 복수노조 사업장에서 교섭대표 노조와 사용자(회사)가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에 참여한 노조를 차별하면 안 된다는 의무를 말한다. 노조와 사용자가 모두 부담하는 의무지만, 회사가 노조만큼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었다. 대법은 "회사는 소극적인 의무만을 가진다"는 2심 판단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다.
○ 타임오프 분배에 양대 노총 갈등
문제는 이듬해 포스코가 타임오프 한도를 배분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회사는 한국노총과 맺은 단체협상을 근거로 타임오프 총한도인 2만4200시간을 노조원 수에 비례해 배분했는데, 소수노조인 민주노총 포스코지회에는 830 시간만이 인정된 것이다. 회사는 체크오프 조합원 수(231명)를 근거로 삼았다.
포스코지회는 "포스코가 공정대표 의무를 위반해 지회를 차별했다"며 지방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요청했다. 포스코지회는 체크오프 조합원 수가 아닌 2018년 12월 노동조합 확정 공고일 당시 노조원 수인 3137명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포스코는 "노조 간 합의한 사항을 따랐을 뿐"이라 반박했다. 회사는 타임오프 총량에만 적극적으로 관여할 수 있을 뿐인데다, 체크오프 조합원 수에 대한 증빙자료도 받지 못했다고 맞섰다.
○ 회사 손 들어준 2심, 대법도 확정... 관행 변화 생길까
지난해 12월 2심을 맡은 서울고법이 회사의 손을 들어주면서 흐름에 변화가 생겼다. 서울고법 행정10부는 민노총이 노사 협의 사항을 모두 인지했고, 양 노조의 합의사항에 회사가 개입할 수 없다고 봤다.
대법 확정판결이 나오면서 복수노조 사업장에서 회사의 적극적인 개입을 요구하는 노조의 관행도 다소 누그러질 것으로 보인다. 노사 협의 현장에서는 "노조원 수가 알려진 것보다 더 많다"며 노 측이 회사에 으름장을 놓는 경우가 적지 않다.
김상민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는 "복수노조 사업장에서 사용자의 공정대표 의무의 성격이 형평을 실현할 적극적인 의무인지 중립적인 태도를 유지할 소극적 의무인지 논란이 있었지만, 소극적 의무라는 법리가 확정된 것"이라며 "복수노조 사업장에서 사용자의 역할에 관한 중요한 참고 선례가 될 것"이라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