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관 센터장 "선도 국가 없는 우주 태양광…후발주자 韓, 따라잡을 기회"
“우주 태양광 기술을 선점한 국가는 아직 없습니다. 한국에도 기회가 있으니 정부와 기업이 발맞춰 빠르게 기술을 개발해야 합니다.”

김대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미래혁신연구센터장(사진)은 22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주요국이 뛰어든 지 얼마 안 됐기 때문에 한국도 얼마든지 기술 표준을 주도할 수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김 센터장은 국내에서 우주 태양광 개발을 이끄는 몇 안 되는 연구자 중 한 명이다. 한국 최초의 달 탐사선 ‘다누리’ 개발과 발사도 김 센터장이 총괄했다.

김 센터장은 “한국이 출발은 몇 년 늦었지만 2040년 이후 상용화라는 장기 관점에서 보면 다른 국가와 격차가 크지 않다”며 “한국은 전기전자, 통신, 에너지 등 우주 태양광에 필요한 기저 기술이 뛰어나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했다. 이어 “기관과 기업 한두 곳이 연구개발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지금부터 국가 차원에서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은 산악 지형이 전체의 70%라 지상 태양광을 깔기 어렵다는 점에서도 우주 태양광은 반드시 확보해야 할 기술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김 센터장은 장차 우주 태양광 개발과 관련해 글로벌 협력 체제가 구축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무한대 에너지로 통하는 핵융합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미국 EU 일본 한국 등 7개국이 모여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프로젝트를 하는 것처럼 다국적 협력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김 센터장은 “미국이 주도하는 아르테미스 달 탐사 프로젝트에 한국이 참여하고 있지만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은 사실 불분명하다”며 “우주 태양광 국제 협력에서도 이런 상황이 반복돼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우주항공청이 이달 27일 문을 열면 우주 태양광 개발 논의가 더 활발하게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 센터장은 “우주항공청이 투자할 미래 기술 중 우주 태양광도 대상에 들어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우주 태양광 기술을 확보하면 우주 탐사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가령 달 궤도에 우주 태양광을 띄우면 달 탐사에 필요한 에너지를 우주 현지에서 빠르게 조달할 수 있다. 김 센터장은 “우주를 탐사할 때 ‘파워 이즈 킹(전력이 왕이다)’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라며 “에너지 안보뿐 아니라 우주 탐사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우주 태양광 기술은 반드시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