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확대로 원자재 상승…밸류체인 기업 ETF 주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탄소중립 기술의 자급력 향상을 위해선 역내 탄소중립 산업 공급망의 경쟁력을 갖춰야한다. 제 3국으로부터의 수입의존도를 낮춰 EU 에너지 시스템의 기술 및 산업 회복력에 기여하거나 산업의 내재화를 위한 원자재 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지목된다.
[한경ESG] 돈 되는 ESG ETF
지난 4월 25일, 유럽의회가 탄소중립산업법(Net-Zero Industry Act, NZIA)을 최종 승인했다. 유럽 집행위원회가 NZIA를 최초 공개한 시기가 2023년 3월인데, 1년 만에 최종 채택된 것이다.
NZIA의 목표는 EU 역내 청정 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것으로, 청정 산업 밸류체인의 역외 의존도를 줄이고 제조 역량을 내재화하는 것(2030년 탄소중립 기술 수요의 40%를 역내 생산)이다.
NZIA와 앞서 발표한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는 공통 목표가 있다. 향후 성장 산업으로 여겨지는 친환경 산업에서 ‘자국 산업·기업의 자립도 높이기’와 ‘특정 국가(우려 국가)에 대한 의존도 낮추기’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유럽연합(EU)과 미국 정부는 자국 진출 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한편, 주요 원자재 보유 국가와 연대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선 주목할 부분은 EU에서 선정한 탄소중립 전략 산업과 기술이다. 지정된 전략 기술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탄소중립 전략 프로젝트(net-zero strategic project)로 지정해 규제를 완화하고 재정 지원을 강화할 전망이다.
법안의 최종 채택 내용을 살펴보면, 초안 때보다 탄소중립 기술 지원이 확대됐다. 지난해 공개된 초안에서는 다수의 탄소중립 기술 중에서도 ▲태양광 및 태양열 ▲육상풍력 및 해상 신재생에너지 ▲배터리 및 저장 기술 ▲히트펌프 및 지열에너지 기술 ▲전기분해 및 연료전지 ▲지속가능한 바이오가스·바이오메탄 ▲탄소포집 및 저장 기술 ▲전력망 기술을 탄소중립 전략기술로 선정했다.
그러나 이번 합의 내용에서는 초안의 기술에 더해 ▲핵분열 에너지 ▲지속가능한 대체연료 ▲수력발전 ▲이전 범주에 포함되지 않은 재생에너지 기술 ▲에너지 시스템 효율화 ▲비생물학적 재생연료 ▲생명공학 기후 및 에너지 솔루션 ▲혁신 탈탄소화 기술 ▲이산화탄소 수송 및 활용 ▲운송용 풍력 및 전기 추진 기술 ▲기타 원자력 관련 기술이 채택됐다.
기후중립 전략 프로젝트 지정 위한 조건은
탄소중립 기술의 자급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지원책인 만큼 기후중립 전략 프로젝트로 지정되기 위해선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해당 프로젝트가 특정 제3국으로부터 수입의존도를 낮춰 EU 에너지 시스템의 기술 및 산업 회복력에 기여하거나 역내 탄소중립 산업 공급망의 경쟁력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해야 한다.
더불어 산업의 내재화를 위해 선제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원자재’ 확보라는 점에도 유의해야 한다. 주요 선진국의 원자재 공급망 다변화 과정에서 대량의 원자재를 보유한 신흥국은 반드시 필요하다. 다만, 신흥국일수록 개발 과정에서 환경오염, 인권침해 등 ESG 리스크가 부각될 가능성이 큰 것이 사실이다.
그중 대표적인 곳이 콩고다. 콩고민주공화국은 전 세계 코발트 생산량의 70%를 담당하지만 대표적 분쟁지역이다. 이에 미국은 콩고산 원자재를 조달·이용하는 기업에 관련 내용을 공시하도록 ‘분쟁 광물 공시의무’를 적용 중이다. 잠비아 역시 구리·코발트 주요 생산국이자 분쟁국이다. 선진국에서 요구하는 OECD 가이드라인에 부합할 만한 지속가능성 체계를 갖췄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하지만 미국은 ‘글로벌 에너지 전환 및 아프리카의 부가가치 창출’이라는 명목으로 자원 조달을 위한 MOU를 체결했고, 동시에 원자재 채굴부터 제품 조립에 이르기까지 공급망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콩고와 잠비아가 국제표준을 준수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친환경에너지로의 에너지 믹스 전환과 산업의 전력 전환, 인공지능(AI)의 등장 등은 전력 수요 및 산업 금속 수요 팽창을 유발한다. 그리고 수요를 이끄는 곳은 선진국이지만, 생산의 중심에 신흥국이 있다는 점은 늘어나는 수요에 대한 대응이 녹록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진 기업은 과거 대비 강화된 환경, 인권 규제 하에서 자신들의 눈높이에 맞는 채굴, 생산 여건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광업이 채굴 및 제련 과정에서의 온실가스 다량 배출, 개발 과정에서의 생물다양성 손실 및 환경오염 유발, 지역사회와의 갈등, 노동 인권침해 등 ESG 리스크 부각 가능성이 높은 산업이라는 점에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수급 불일치의 영향으로 원자재 가격이 상승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도 차별화된 대응 역량으로 수혜를 받는 기업이 존재할 것이다. 원자재 투자에 관심 있는 투자자라면 관련 밸류체인 기업으로 구성된 ETF에 관심을 가질 만하다.
이나예 한국투자증권 ESG 애널리스트
NZIA의 목표는 EU 역내 청정 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것으로, 청정 산업 밸류체인의 역외 의존도를 줄이고 제조 역량을 내재화하는 것(2030년 탄소중립 기술 수요의 40%를 역내 생산)이다.
NZIA와 앞서 발표한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는 공통 목표가 있다. 향후 성장 산업으로 여겨지는 친환경 산업에서 ‘자국 산업·기업의 자립도 높이기’와 ‘특정 국가(우려 국가)에 대한 의존도 낮추기’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유럽연합(EU)과 미국 정부는 자국 진출 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한편, 주요 원자재 보유 국가와 연대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선 주목할 부분은 EU에서 선정한 탄소중립 전략 산업과 기술이다. 지정된 전략 기술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탄소중립 전략 프로젝트(net-zero strategic project)로 지정해 규제를 완화하고 재정 지원을 강화할 전망이다.
법안의 최종 채택 내용을 살펴보면, 초안 때보다 탄소중립 기술 지원이 확대됐다. 지난해 공개된 초안에서는 다수의 탄소중립 기술 중에서도 ▲태양광 및 태양열 ▲육상풍력 및 해상 신재생에너지 ▲배터리 및 저장 기술 ▲히트펌프 및 지열에너지 기술 ▲전기분해 및 연료전지 ▲지속가능한 바이오가스·바이오메탄 ▲탄소포집 및 저장 기술 ▲전력망 기술을 탄소중립 전략기술로 선정했다.
그러나 이번 합의 내용에서는 초안의 기술에 더해 ▲핵분열 에너지 ▲지속가능한 대체연료 ▲수력발전 ▲이전 범주에 포함되지 않은 재생에너지 기술 ▲에너지 시스템 효율화 ▲비생물학적 재생연료 ▲생명공학 기후 및 에너지 솔루션 ▲혁신 탈탄소화 기술 ▲이산화탄소 수송 및 활용 ▲운송용 풍력 및 전기 추진 기술 ▲기타 원자력 관련 기술이 채택됐다.
기후중립 전략 프로젝트 지정 위한 조건은
탄소중립 기술의 자급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지원책인 만큼 기후중립 전략 프로젝트로 지정되기 위해선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해당 프로젝트가 특정 제3국으로부터 수입의존도를 낮춰 EU 에너지 시스템의 기술 및 산업 회복력에 기여하거나 역내 탄소중립 산업 공급망의 경쟁력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해야 한다.
더불어 산업의 내재화를 위해 선제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원자재’ 확보라는 점에도 유의해야 한다. 주요 선진국의 원자재 공급망 다변화 과정에서 대량의 원자재를 보유한 신흥국은 반드시 필요하다. 다만, 신흥국일수록 개발 과정에서 환경오염, 인권침해 등 ESG 리스크가 부각될 가능성이 큰 것이 사실이다.
그중 대표적인 곳이 콩고다. 콩고민주공화국은 전 세계 코발트 생산량의 70%를 담당하지만 대표적 분쟁지역이다. 이에 미국은 콩고산 원자재를 조달·이용하는 기업에 관련 내용을 공시하도록 ‘분쟁 광물 공시의무’를 적용 중이다. 잠비아 역시 구리·코발트 주요 생산국이자 분쟁국이다. 선진국에서 요구하는 OECD 가이드라인에 부합할 만한 지속가능성 체계를 갖췄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하지만 미국은 ‘글로벌 에너지 전환 및 아프리카의 부가가치 창출’이라는 명목으로 자원 조달을 위한 MOU를 체결했고, 동시에 원자재 채굴부터 제품 조립에 이르기까지 공급망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콩고와 잠비아가 국제표준을 준수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친환경에너지로의 에너지 믹스 전환과 산업의 전력 전환, 인공지능(AI)의 등장 등은 전력 수요 및 산업 금속 수요 팽창을 유발한다. 그리고 수요를 이끄는 곳은 선진국이지만, 생산의 중심에 신흥국이 있다는 점은 늘어나는 수요에 대한 대응이 녹록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진 기업은 과거 대비 강화된 환경, 인권 규제 하에서 자신들의 눈높이에 맞는 채굴, 생산 여건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광업이 채굴 및 제련 과정에서의 온실가스 다량 배출, 개발 과정에서의 생물다양성 손실 및 환경오염 유발, 지역사회와의 갈등, 노동 인권침해 등 ESG 리스크 부각 가능성이 높은 산업이라는 점에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수급 불일치의 영향으로 원자재 가격이 상승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도 차별화된 대응 역량으로 수혜를 받는 기업이 존재할 것이다. 원자재 투자에 관심 있는 투자자라면 관련 밸류체인 기업으로 구성된 ETF에 관심을 가질 만하다.
이나예 한국투자증권 ESG 애널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