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910명 서명…목초지 불놓기, 달집 태우기 등 명시

제주시 애월읍 주민들이 '불놓기'를 포함한 제주들불축제 지속 추진을 위한 조례 제정에 나섰다.

제주들불축제 '오름 불 놓기' 부활할까…주민발의 조례 청구
제주시 애월읍 주민들은 27일 제주도의회 도민카페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제주특별자치도 정월대보름 들불축제 지원에 관한 조례안' 주민 발의 청구인명부를 도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주민들이 지난 3월부터 서명받은 결과 청구 요건인 1천35명보다 많은 1천910명(전자서명 250명 포함)이 서명했다.

주민들은 "지난 27년간 24회에 걸쳐 추진돼온 제주들불축제가 올해 중단되면서 제주 고유의 정월대보름 세시풍속이 사라질 위기에 처함에 따라 축제를 계속 추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례 주민발의를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조례안은 들불축제 개최 기간을 음력 1월 15일 정월대보름 전후로 전국 산불경보 발령 기간을 제외한 기간으로 하고, 장소는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 소재 새별오름 일원으로 하도록 했다.

주요 행사로 달집 태우기, 목초지 불놓기, 듬돌들기, 풍년 및 무사안녕 기원제 등을 실시한다는 내용도 조례안에 명시됐다.

주민들은 "도민 여론조사에서 1천500명 중 56.7%가 '들불축제 유지' 의견이었고, 원탁회의 도민 참여단 187명 중 50.8%는 유지 의사를 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새로운 방식의 축제 준비를 한다는 명목으로 올해 축제를 개최하지 않아 서명에 참여한 도민들이 매우 아쉬워했다"며 들불축제 지속 추진과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1997년 시작된 제주들불축제는 소와 말 등 가축 방목을 위해 해묵은 풀을 없애고 해충을 구제하기 위해 마을별로 불을 놓았던 제주의 옛 목축문화인 '방애'를 재해석한 문화관광 축제로 도민과 관광객의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환경파괴 논란과 전국적인 산불경보 발령 등이 겹치며 지난해 축제의 하이라이트인 '오름 불놓기'가 전격 취소됐다.

이후 제주시는 숙의형 원탁회의에서 제시한 권고안을 반영해 지난해 10월 오름 불놓기를 폐지하고 올해 축제를 개최하지 않았으며, 오름 불놓기를 대체할 새로운 들불축제 대표 콘텐츠를 오는 28일까지 공모하고 있다.

제주들불축제 '오름 불 놓기' 부활할까…주민발의 조례 청구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