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PRO] 줄줄이 10% 껑충…탄소배출권 ETF 조용히 뜬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 마켓PRO 텔레그램을 구독하시면 프리미엄 투자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볼 수 있습니다. 텔레그램에서 ‘마켓PRO’를 검색하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열흘 사이에 탄소배출권 선물 ETF 10%대↑
"배출권 200유로까지 상승" 전망도 나와 한동안 주춤했던 탄소배출권 관련 상장지수펀드(ETF)가 조용히 반등하고 있다. 탄소배출권은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사고파는 것으로, 통상 국제유가, 천연가스 가격이 오르면 동반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다. 대체재 석탄 수요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열흘(17~27일)일 사이에 SOL 글로벌탄소배출권선물ICE(합성) ETF가 10.44% 급등했다. 이 상품은 유럽과 영국, 북미 등 지역에 대한 탄소배출권에 분산 투자하는 상품이다. 같은 기간 SOL 유럽탄소배출권선물S&P(H), KODEX 유럽탄소배출권선물ICE(H), HANARO 글로벌탄소배출권선물ICE(합성)도 10% 이상 상승했다.
탄소배출권은 2005년 유럽연합(EU)을 시작으로 지구온난화 문제를 일으키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도입된 제도다. 현재 EU의 탄소배출권(ETS) 시장은 지난해 기준 7700억유로(약 1101조원) 규모로 세계 1위(약 87%)다. EU는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2030년까지 2005년 대비 탄소배출량을 62% 감축할 계획이다. 탄소배출권 가격은 지난 2월 저점을 찍으면서 국내 증시에 상장된 관련 ETF 종목 역시 동반 하락했었다.
하지만 최근 탄소배출권 가격이 상승 반전하면서 국내 탄소배출권 ETF도 덩달아 오름폭을 확대하고 있다. 영국 ICE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유럽 탄소배출권 12월 선물 가격은 지난 24일(현지시간) t(톤) 당 75.78유로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2월 t당 52유로대로 하락했던 가격이 석 달 사이에 45.73% 급등한 것이다. 장기적으로 전 세계 탈(脫)탄소 기조가 강화되면서 탄소배출권 가격이 올라갈 것이란 전망이 나온 영향으로 풀이된다.
블룸버그 뉴 에너지 파이낸스(NEF)는 유럽 탄소배출권 거래 가격이 10년 내 t당 146유로, 2035년에는 t당 200유로에 육박할 것으로 내다봤다. 탄소배출 수요에 비해 공급이 제한되면서 장기적으로 배출권 상승이 예상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EU는 올해부터 해운업에 배출권제도를 적용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선박 국적과 상관없이 EU 항만에 기항하는 5000t 이상의 선박은 의무적으로 배출권을 제출해야 한다. 또 항공 부문에서도 대부분 무상할당했던 배출권을 2026년까지 100% 경매 형식으로 전환해 유상할당할 계획이다. 2026년부터 이른바 '탄소세(CBAM·탄소국경조정제도)'를 시행하기로 한 점도 배출권 가격 상승 압박으로 작용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밖에 중동 전쟁 확전으로 인한 유가 상승 우려, 인공지능(AI) 열풍으로 데이터센터 확장 등도 배출권 상승을 이끄는 요인으로 주목된다. 유가가 상승하면 대체재인 석탄 수요가 늘면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늘어난다. AI 수요로 급증한 데이터센터 역시 탄소배출의 주범으로 거론된다. 마이크로소프트(MS)에 따르면 데이터센터 증가로 2020년 이후 총 탄소 배출량이 29.1% 증가했다. GPT3가 훈련과정에서 사용한 전력은 1287메가와트시(MWh), 배출한 이산화탄소는 552t에 이른다.
최관순 SK증권 연구원은 "유럽이 탄소배출권 공급을 줄이고 있는 가운데 배출권 거래 대상을 늘리고 있어 배출권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며 "경기침체 지속, 온난화 등 변수에도 배출권 가격은 장기적으로 오름세를 보일 전망"이라고 말했다.
조아라 기자 rrang123@hankyung.com
열흘 사이에 탄소배출권 선물 ETF 10%대↑
"배출권 200유로까지 상승" 전망도 나와 한동안 주춤했던 탄소배출권 관련 상장지수펀드(ETF)가 조용히 반등하고 있다. 탄소배출권은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사고파는 것으로, 통상 국제유가, 천연가스 가격이 오르면 동반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다. 대체재 석탄 수요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열흘(17~27일)일 사이에 SOL 글로벌탄소배출권선물ICE(합성) ETF가 10.44% 급등했다. 이 상품은 유럽과 영국, 북미 등 지역에 대한 탄소배출권에 분산 투자하는 상품이다. 같은 기간 SOL 유럽탄소배출권선물S&P(H), KODEX 유럽탄소배출권선물ICE(H), HANARO 글로벌탄소배출권선물ICE(합성)도 10% 이상 상승했다.
탄소배출권은 2005년 유럽연합(EU)을 시작으로 지구온난화 문제를 일으키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도입된 제도다. 현재 EU의 탄소배출권(ETS) 시장은 지난해 기준 7700억유로(약 1101조원) 규모로 세계 1위(약 87%)다. EU는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2030년까지 2005년 대비 탄소배출량을 62% 감축할 계획이다. 탄소배출권 가격은 지난 2월 저점을 찍으면서 국내 증시에 상장된 관련 ETF 종목 역시 동반 하락했었다.
하지만 최근 탄소배출권 가격이 상승 반전하면서 국내 탄소배출권 ETF도 덩달아 오름폭을 확대하고 있다. 영국 ICE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유럽 탄소배출권 12월 선물 가격은 지난 24일(현지시간) t(톤) 당 75.78유로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2월 t당 52유로대로 하락했던 가격이 석 달 사이에 45.73% 급등한 것이다. 장기적으로 전 세계 탈(脫)탄소 기조가 강화되면서 탄소배출권 가격이 올라갈 것이란 전망이 나온 영향으로 풀이된다.
블룸버그 뉴 에너지 파이낸스(NEF)는 유럽 탄소배출권 거래 가격이 10년 내 t당 146유로, 2035년에는 t당 200유로에 육박할 것으로 내다봤다. 탄소배출 수요에 비해 공급이 제한되면서 장기적으로 배출권 상승이 예상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EU는 올해부터 해운업에 배출권제도를 적용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선박 국적과 상관없이 EU 항만에 기항하는 5000t 이상의 선박은 의무적으로 배출권을 제출해야 한다. 또 항공 부문에서도 대부분 무상할당했던 배출권을 2026년까지 100% 경매 형식으로 전환해 유상할당할 계획이다. 2026년부터 이른바 '탄소세(CBAM·탄소국경조정제도)'를 시행하기로 한 점도 배출권 가격 상승 압박으로 작용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밖에 중동 전쟁 확전으로 인한 유가 상승 우려, 인공지능(AI) 열풍으로 데이터센터 확장 등도 배출권 상승을 이끄는 요인으로 주목된다. 유가가 상승하면 대체재인 석탄 수요가 늘면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늘어난다. AI 수요로 급증한 데이터센터 역시 탄소배출의 주범으로 거론된다. 마이크로소프트(MS)에 따르면 데이터센터 증가로 2020년 이후 총 탄소 배출량이 29.1% 증가했다. GPT3가 훈련과정에서 사용한 전력은 1287메가와트시(MWh), 배출한 이산화탄소는 552t에 이른다.
최관순 SK증권 연구원은 "유럽이 탄소배출권 공급을 줄이고 있는 가운데 배출권 거래 대상을 늘리고 있어 배출권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며 "경기침체 지속, 온난화 등 변수에도 배출권 가격은 장기적으로 오름세를 보일 전망"이라고 말했다.
조아라 기자 rrang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