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 연금 소득대체율 놓고 '동상이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보험료율 13%에만 공감대
李 "44% 도입한 후 상향" 언급
與 일각 "일단 모수개혁 후 하향"
李 "44% 도입한 후 상향" 언급
與 일각 "일단 모수개혁 후 하향"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오른쪽)와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7일 여야 원내대표 회동을 마친 뒤 이동하고 있다. 뉴스1](https://img.hankyung.com/photo/202405/AA.36846423.1.jpg)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2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소득대체율 50%를 주장하는 시민사회가 민주당의 ‘44%안(案) 수용’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우려하는 바를 잘 알고 있다”며 “22대 국회에서 2차 연금개혁을 통해 소득대체율을 상향하는 등 문제를 보완하겠다”고 했다. 민주당 지지 기반인 노조를 중심으로 “소득보장 기조가 후퇴했다”고 비난하자 이 대표가 달래기에 나선 것이다.
애초 민주당은 ‘보험료율 15%, 소득대체율 50%’의 소득보장론을 지지해왔다. 하지만 보험료율은 13%, 소득대체율은 여당이 주장한 44%까지 수용하겠다며 21대 임기 내 연금개혁안 처리를 압박하고 있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일단 21대 국회에서 모수개혁의 첫 발을 떼놓고, 이후 국민적 요구가 있다면 소득대체율을 올리는 방안도 준비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했다. 정치권에서는 민주당이 노조 등의 소득대체율 상향 요구를 외면하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여권 내 모수개혁 우선론자 사이에선 정반대 분위기가 읽힌다. 현재 모수개혁안이 기금 소진 시점을 일부 늦출 뿐 근본적인 개혁안이 될 수 없다는 여권 내 주장에 대해 “일단 기회가 왔을 때 보험료율을 올려놓고 소득대체율은 중장기적으로 다시 낮추면 된다”고 반박하고 있다. 이달 여야 원내지도부는 연금개혁안 처리를 두고 막판 협상에 나섰지만 타결하지 못했다. 사실상 연금개혁 논의가 22대 국회로 넘어갔지만, 소득대체율을 둔 여야 간 ‘동상이몽’을 고려하면 개혁 논의가 쉽지 않을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한재영 기자 jy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