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 서비스, 존속될 수 없다?…라인야후 보도 쏟아낸 日 언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日 주요 언론 5곳, 라인야후 보도
일본 정부 행정지도 후 기사 66건
라인야후 보안사고 심각성 강조
일본 총무성 행정지도 필요성 부각
일본 정부 행정지도 후 기사 66건
라인야후 보안사고 심각성 강조
일본 총무성 행정지도 필요성 부각
일본 주요 언론들이 라인야후 사태와 관련해 최근 두 달여간 70건 가까이 되는 기사를 쏟아낸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언론진흥재단에 따르면 일본 주요 신문 5곳이 라인야후에 대해 보도한 기사는 최근 약 2개월간 총 66건으로 집계됐다. 일본 총무성이 라인야후를 상대로 1차 행정지도를 내린 이후부터 현재까지 보도된 기사를 조사한 결과다.
매체별로 보면 닛케이신문이 19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마이니치신문·요미우리신문 각 13건, 아사히신문 12건, 산케이신문 9건 순이었다.
해당 언론들은 대체로 라인야후의 보안 사고를 지적하면서도 일본 정부 행정지도 내용은 단순 전달하는 데 그쳤다.
일본 총무성은 라인야후를 상대로 행정지도를 통해 네이버와의 자본관계를 검토할 것을 압박했다. 라인야후 최대 주주인 A홀딩스 지분을 각각 50%씩 보유한 네이버와 소프트뱅크 간 지배구조를 검토하라는 취지로 국내에선 일본 정부의 라인 강탈 시도로 받아들여졌다.
일본 언론들은 행정지도가 보안 사고 해결을 위한 필수조치라고 봤지만 그에 따른 결과를 우려하기도 했다.
실제로 닛케이신문은 네이버와의 자본관계 재검토가 외교 마찰을 일으킬 수 있다면서 동시에 라인야후 보안 사고의 심각성을 부각시켰다. 총무성 행정지도를 네이버의 라인야후 경영권 문제가 아닌 보안 사고 대책의 하나로 필요성을 강조한 것.
마이니치신문도 "일본 정부의 대응에 한국으로부터 반발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고 보도했다. 총무성 행정지도가 한일 관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드러낸 것이다.
다만, 한일 정상회담에선 라인야후 사태를 양국 관계와 별개 사안으로 인식한다는 언급이 나온 만큼 외교적 마찰로 이어질 가능성은 비교적 낮다는 관측이 나온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6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의 양자 회담에서 "(행정지도가) 국내 기업인 네이버에 지분을 매각하라는 요구는 아닌 것으로 이해하며 한일 외교 관계와 별개의 사안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시다 총리는 이에 "행정지도는 이미 발생한 중대한 보안 유출 사건에 대해 어디까지나 보안 거버넌스를 재검토해 보라는 요구사항"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언론들은 사설을 통해 라인야후 보안 사고를 한층 더 강하게 부각했다.
요미우리신문은 "라인야후는 책임의 엄중함을 자각하고 관리 체제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썼다. 아사히신문은 "개인정보 보호가 철저하지 않으면 라인이라는 서비스는 존속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산케이신문의 경우 총무성의 개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산케이신문은 "신뢰할 수 있는 경영 체제로 혁신하지 않으면 안 된다"며 "마쓰모토 총무상은 엄격하게 이용자의 이익을 확실히 보호할 것을 요구했다고 밝혔지만 이는 당연하다"고 전했다.
재단은 "(일본의) '발표 저널리즘' 관행이 라인 사태에서도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며 "특히 그 대상이 한국 기업이기 때문에 일본 주요 신문사들의 기사나 사설에선 총무성의 대응 방식을 옹호하는 기사와 사설이 지배적이었다"고 분석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
29일 한국언론진흥재단에 따르면 일본 주요 신문 5곳이 라인야후에 대해 보도한 기사는 최근 약 2개월간 총 66건으로 집계됐다. 일본 총무성이 라인야후를 상대로 1차 행정지도를 내린 이후부터 현재까지 보도된 기사를 조사한 결과다.
매체별로 보면 닛케이신문이 19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마이니치신문·요미우리신문 각 13건, 아사히신문 12건, 산케이신문 9건 순이었다.
해당 언론들은 대체로 라인야후의 보안 사고를 지적하면서도 일본 정부 행정지도 내용은 단순 전달하는 데 그쳤다.
일본 총무성은 라인야후를 상대로 행정지도를 통해 네이버와의 자본관계를 검토할 것을 압박했다. 라인야후 최대 주주인 A홀딩스 지분을 각각 50%씩 보유한 네이버와 소프트뱅크 간 지배구조를 검토하라는 취지로 국내에선 일본 정부의 라인 강탈 시도로 받아들여졌다.
일본 언론들은 행정지도가 보안 사고 해결을 위한 필수조치라고 봤지만 그에 따른 결과를 우려하기도 했다.
실제로 닛케이신문은 네이버와의 자본관계 재검토가 외교 마찰을 일으킬 수 있다면서 동시에 라인야후 보안 사고의 심각성을 부각시켰다. 총무성 행정지도를 네이버의 라인야후 경영권 문제가 아닌 보안 사고 대책의 하나로 필요성을 강조한 것.
마이니치신문도 "일본 정부의 대응에 한국으로부터 반발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고 보도했다. 총무성 행정지도가 한일 관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드러낸 것이다.
다만, 한일 정상회담에선 라인야후 사태를 양국 관계와 별개 사안으로 인식한다는 언급이 나온 만큼 외교적 마찰로 이어질 가능성은 비교적 낮다는 관측이 나온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6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의 양자 회담에서 "(행정지도가) 국내 기업인 네이버에 지분을 매각하라는 요구는 아닌 것으로 이해하며 한일 외교 관계와 별개의 사안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시다 총리는 이에 "행정지도는 이미 발생한 중대한 보안 유출 사건에 대해 어디까지나 보안 거버넌스를 재검토해 보라는 요구사항"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언론들은 사설을 통해 라인야후 보안 사고를 한층 더 강하게 부각했다.
요미우리신문은 "라인야후는 책임의 엄중함을 자각하고 관리 체제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썼다. 아사히신문은 "개인정보 보호가 철저하지 않으면 라인이라는 서비스는 존속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산케이신문의 경우 총무성의 개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산케이신문은 "신뢰할 수 있는 경영 체제로 혁신하지 않으면 안 된다"며 "마쓰모토 총무상은 엄격하게 이용자의 이익을 확실히 보호할 것을 요구했다고 밝혔지만 이는 당연하다"고 전했다.
재단은 "(일본의) '발표 저널리즘' 관행이 라인 사태에서도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며 "특히 그 대상이 한국 기업이기 때문에 일본 주요 신문사들의 기사나 사설에선 총무성의 대응 방식을 옹호하는 기사와 사설이 지배적이었다"고 분석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