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결과로 첫 '유생지도'도 제작 추진…"어업인 소득 증대 기여"
경남 해역 기후변화 영향 점검한다…패류 유생 출현변화 조사
경남도 수산안전기술원이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도내 해역에서 패류 등 양식품종에 대한 유생(幼生·어린 것) 조사를 확대한다.

수산안전기술원은 도내 해역에서 유생 출현 변화 여부를 확대 조사·분석한다고 29일 밝혔다.

수산안전기술원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환경 변화로 패류 등의 유생 발생 시기와 장소가 일부 변화함에 따라 조사 확대를 결정했다.

또 특정 지역에서는 기존에 발견되지 않던 다른 품종의 유생이 발견되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도 알려졌다.

수산안전기술원은 먼저 어업인단체와 품종별 양식협회 등을 대상으로 탐문 조사를 실시해 유생 출현 변화 여부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각 해역에서 현장조사에 나설 계획이다.

현장조사로 수집된 유생 분포 데이터를 활용해 처음으로 '유생지도'를 만들어 연말께 어업인들에게 배포할 예정이다.

수산안전기술원은 유생지도가 어업인이 적정한 채묘(종자 붙이기) 시기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이에 따른 주요 양식품종의 생산성 향상 효과도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수산안전기술원은 기존에는 지역별·시기별로 굴·진주담치·미더덕류·피조개·새꼬막 유생 등을 조사해왔다.

조사 결과는 문자 또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실시간으로 알린다.

송상욱 수산안전기술원장은 "도내 주요 양식품종 유생 조사를 확대해 어업인 소득 증대에 기여하도록 하겠다"며 "앞으로도 해양환경 변화에 적극 대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