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렌스키 '임기종료' 재차 주장…"의회에 넘겨야"
푸틴 "서방, 러 영토 타격 허용하면 심각한 결과"(종합2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서방이 우크라이나에 러시아 영토를 타격할 수 있도록 허용하면 '심각한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푸틴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우즈베키스탄 순방을 마무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유럽, 특히 작은 국가들은 그들이 무엇을 가지고 노는지 알아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작고 인구 밀도가 높은 나라들은 러시아 영토 깊숙한 곳을 공격하기 전에 이를 명심해야 한다"며 위협했다.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서방이 제공한 무기로 러시아 본토를 공격해야 한다는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의 주장에 대해서는 "장거리 정밀 무기는 우주 정찰 능력 없이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며 이 경우 서방이 직접 개입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크라이나에 외국 용병으로 가장해 장거리 정밀 무기를 관리하는 전문가들이 있다고 주장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이즈베스티야, 로시야1 등 현지 언론 인터뷰에서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의 발언에 대해 "서방에는 완전히(절대적으로) 무책임하고 도발적인 발언을 하는 성급한 사람들이 있다"고 지적했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호세프 보렐 유럽연합(EU) 외교안보 고위대표도 러시아 본토 공격에 동의한다고 밝힌 것에 대해서도 "비우호적 행동이 아니라 적대적 행동으로 간주할 것"이라며 "푸틴 대통령과 러시아군은 이를 알고 있으며 필요한 대응 조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방이 우크라이나에 파병하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과 관련해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 서방 용병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은 잘 알고 있다"며 "새로운 것이 없다.

우리는 (도청으로) 영어, 프랑스어, 폴란드어를 듣는다"고 덧붙였다.

이어 우크라이나 파병을 계획하는 서방이 갈등을 확대해 세계적인 충돌에 가까워지게 할 것이라면서 파병군들은 러시아의 합법적인 표적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우크라이나가 장거리 무기로 러시아 영토를 공격한다면 완충지대 설정도 다시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북동부에 있는 제2 도시 하르키우 공세를 강화하는 것에 대해서는 "우리는 완충지대를 만들기 시작했다"며 "이는 6개월 전에 우크라이나에 경고했던 사안"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국이 러시아와 전략 무기에 대해 협상하기를 원하고 있지만 많은 욕구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며 상황을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푸틴 "서방, 러 영토 타격 허용하면 심각한 결과"(종합2보)
푸틴 대통령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임기가 종료됨에 따라 우크라이나 의회(베르호우나 라다) 의장에게 권력을 이양해야 한다며 "엄밀히 말하면 우크라이나에서 유일하게 합법적인 권력은 의회와 의회 의장뿐"이라고 주장했다.

2021년부터 우크라이나 의회 의장은 집권 여당 '국민의 종'의 루슬란 스테판추크가 맡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 20일로 5년 임기가 종료된 젤렌스키 대통령의 적법성에 대한 문제를 지속해서 제기하고 있다.

러시아는 '적법한' 우크라이나 지도자들과만 협상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우크라이나는 지난 3월 대통령 선거를 치렀어야 했지만, 러시아의 '특별군사작전'으로 계엄령이 발령됐다는 이유로 헌법을 근거로 대선을 취소했다.

푸틴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의 정당성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해야 한다면서 "예비 평가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헌법은 의회의 권한 연장은 규정하지만, 대통령 임기 연장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다"며 계엄령 중 선거를 치르지 않았다고 해서 대통령 임기가 연장되는 건 아니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들이 정말로 대선을 치르려고 했다면 계엄령을 해제했어야 했지만, 그들은 그러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정권 연장을 위해 계엄령을 유지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헌법 111조를 보면 (대선이 실시되지 않을 경우) 권한은 의회 의장에게 넘어간다"고 설명했다.

다만 실제 우크라이나 헌법 111조에는 대통령 탄핵과 해임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돼 있다.

푸틴 대통령의 우즈베키스탄 방문은 지난 26∼27일로 예정돼 있었지만, 하루 연장됐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푸틴 대통령과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의 대화가 새벽까지 이어지면서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을 집으로 초대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