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우주사업 후발 경쟁사 진입 막으려 횡포"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민간 우주 사업에서 독점적인 지위를 누리고 있는 가운데, 후발 경쟁사들의 시장 진입을 막기 위해 횡포를 부리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28일(현지시간) "일론 머스크가 우주 발사를 지배한다. 경쟁사들은 반칙이라고 부른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머스크와 스페이스X에 대한 업계 내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업계의 다른 기업들은 머스크가 막강한 힘과 영향력을 점점 더 많이 이용해 후발 경쟁자들을 시장에서 몰아내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로켓 제작 스타트업 렐러티버티 스페이스(Relativity Space) 설립자인 팀 엘리스는 초기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던 중 스페이스X 관계자들이 이를 막으려 한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엘리스는 "우리가 더 큰 회사가 되기 시작한 후 이뤄진 모든 자금 조달 라운드와 우리가 체결한 모든 고객 계약에 대해 스페이스X에서 우리의 거래 업체들을 질책하기 위한 전화를 신속하게 대량으로 돌렸다"고 설명했다.

로켓 발사업체 '팬텀 스페이스'의 설립자 짐 캔트렐은 2002년 머스크가 스페이스X를 설립할 당시 함께 일하다 독립해 자신의 회사를 차렸는데, 이후 2명의 예비고객이 스페이스X의 개입으로 인해 팬텀 스페이스와는 계약을 체결할 수 없다고 통보했다고 전했다.

캔트렐은 스페이스X 측이 자사의 거래처와 로켓 발사 계약을 체결하면서 다른 발사 업체와의 계약을 제한하는 조항을 삽입한 것을 알게 됐다면서 "반(反)경쟁적이고 반(反)미국적"이라고 비판했다.

또 다른 로켓 발사업체 로켓랩의 설립자 피터 벡은 자신이 2019년 머스크를 만나 로켓랩 설립에 관해 얘기한 뒤 스페이스X가 소형 탑재체 발사 가격을 크게 낮췄다면서 이는 후발 진입 업체들의 성공 가능성을 낮추기 위한 조치였다고 주장했다.

벡은 "이것은 우연히 이뤄진 독점이 아니다"라면서 "(스페이스X의) 사업적인 결정이 내려지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로켓랩은 2006년 설립 이후 40회 넘게 발사에 성공했고, 업계에서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200개에 가까운 위성을 우주에 보냈다.

하지만 이후 스페이스X는 팰컨9 로켓을 이용하는 수송 서비스의 초기 가격을 ㎏당 5천달러(약 681만원)로 책정했으며, 이는 로켓 발사에 드는 기본 비용보다도 낮은 수준이라고 업계 관계자들은 전했다.

업계에서는 스페이스X가 정부 계약으로 확보한 수익의 일부로 이런 민간 시장의 출혈경쟁 비용을 충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로켓랩의 경우 ㎏당 발사 가격이 약 2만1천500달러(약 2천928만원) 수준이다.

스페이스X 측은 이런 경쟁사들의 주장에 대한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고 NYT는 전했다.

다만 스페이스X의 고위 임원인 게리 헨리는 "나는 그런 말을 전혀 믿지 않는다"며 "우리는 모든 발사를 통해 수익을 내고 있다"고 말했다.

스페이스X는 지난해 연간 96회 로켓 발사와 궤도 진입에 성공해 다른 모든 경쟁업체가 미국에서 성공한 합계 횟수인 7회를 압도했다.

게다가 앞으로 대형 우주선인 스타십까지 지구궤도 비행에 성공하면 향후 10년간 스페이스X가 전 세계 우주 사업을 지배할 것으로 업계 관계자들은 전망했다.


조시형기자 jsh1990@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