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내달 안보리 의장국…키워드는 '사이버안보·北인권·평화'
내달 한 달간 한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의장국을 맡는 가운데, 사이버안보·북한인권·평화구축 등을 주제로 유엔 내에서 다양한 행사를 마련할 방침이라고 외교부는 31일 밝혔다.

안보리 의장국은 15개 이사국이 나라 이름 알파벳 순서대로 한 달씩 돌아가면서 맡고 있다.

의장국은 안보리의 각종 공식 회의는 물론 비공식 협의를 주재하며, 다른 유엔 회원국과 유엔 기관들에 대해 안보리를 대표하는 권한을 가진다.

한국이 안보리 의장국을 맡는 것은 직전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 임기 중이었던 지난 2014년 5월 이후 10년 만이다.

정부는 수임 기간 의장국 대표 행사로 '사이버공간 내 위협과 국제 평화 안보'를 주제로 하는 공개토의를 개최한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안보리에서 직접 행사를 주재한다.

외교부는 "첨단 기술 유출, 가상자산 탈취, 핵심 기반시설 공격 등 악의적 사이버 활동들은 국익 및 민생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범죄"라며 "특히 북한은 악성 사이버 활동을 통해 불법적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위한 재원을 조달하는 등 국제 핵·비확산 체제를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아울러 의장국 수임을 계기로 유엔에서 북한 인권 상황을 논의하는 '북한인권 브리핑 공식회의' 개최도 추진한다.

이 회의는 지난 2014∼2017년 매년 개최되다가 이후 한동안 열리지 않았으며, 지난해 8월 6년 만에 재개된 바 있다.

정부는 수임 기간 평화구축 문제도 중점 의제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조 장관은 뉴욕 방문 계기 평화구축위원회(PBC) 회의에 참석한다.

이와 함께 정부는 유엔 사무국 요청에 따라 아동·무력분쟁을 주제로 연례 공개토의도 개최한다.

이 행사에는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발표자로 참여한다.

외교부는 "정부는 안보리 의장국으로서 북한의 중대 도발 시 국제사회와 함께 안보리 차원 대응을 견인해 나갈 예정"이라며 "안보리 내 한미일 간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북한 비핵화 관련 논의를 주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