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만델라 후계자' 집권 30년간 부패·실정에 민생고 가중
아파르트헤이트 이후 청년세대 중심 불만 확산
'만델라 시대' 퇴장 예고한 남아공 총선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총선 투표장은 '넬슨 만델라(1918∼2013)의 시대'가 서서히 저물어 가는 변화의 현장이었다.

'만델라당'으로 불리는 집권당 아프리카민족회의(ANC)는 아파르트헤이트(흑백 인종차별 정책)가 종식된 1994년 이후 30년간 이어온 단독 집권에 처음으로 실패했다.

ANC가 지난 6번의 총선에서 60% 안팎의 높은 득표율로 집권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만델라'였음은 부정하기 어려운 사실이다.

ANC는 흑인에게 참정권이 처음 부여된 1994년 총선에서 62.7%를 득표해 집권에 성공했고 당시 ANC 의장이던 만델라는 그해 5월 10일 첫 흑인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대통령이 된 그는 임기 5년간 아파르트헤이트의 막을 걷어내고 화해와 포용의 정치를 펼쳤다.

인종 화합에 따른 정치·사회적 안정과 식민지 시대부터 갖춰진 경제·산업 기반, 풍부한 자원을 발판삼아 남아공은 2000년대 초반까지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만델라의 뒤를 이은 ANC 후계자들의 부패와 실정으로 경제난과 사회 불안이 가중되며 ANC의 지지율은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했다.

만델라의 대통령 임기 마지막 해인 1999년 66.4%로 오른 ANC의 총선 득표율은 2004년 69.7%로 정점을 찍은 뒤 상승세가 꺾이며 2009년에는 65.9%를 기록했다.

2014년 총선에서는 62.2%를 득표했고 직전 2019년 총선에서는 57.5%의 득표율로 처음으로 60% 아래로 내려갔다.

지지율은 하락세를 이어갔으나 과반 득표를 유지한 것은 그나마 만델라의 후광과 향수가 조금 더 남아 있던 덕분으로 볼 수 있다.

시간이 흐를수록 민심은 ANC를 외면했고 '만델라 레거시'는 점점 색이 바랬다.

기성세대는 물론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전후로 태어난 20∼30대 중심으로 ANC에 대한 불만이 확산하면서다.

'만델라 시대' 퇴장 예고한 남아공 총선
2000년대 초반까지 경제 성장이나 역사적인 아파르트헤이트 종식의 변화를 직접 체험하지 못한 청년 세대 대부분은 삶의 질이 예전보다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특히 32.9%의 실업률을 기록한 올해 1분기 15∼34세 청년 실업률은 45.5%에 달해 남아공 청년 세대가 겪는 고통과 좌절은 임계점에 다다랐다.

지난 29일 하우텡주의 한 투표소에서 만난 타쿠 템베자(22)는 "여당의 오랜 집권 기간 시간이 지날수록 상황이 더 나빠지는 것을 봤다"며 "이번 총선에서 우리가 바라는 것은 변화"라고 말했다.

남아공 선거관리위원회(IEC)에 따르면 이번 총선에 등록한 아파르트헤이트 이후 세대인 18∼29세 유권자는 494만여명으로 전체 2천767만여명의 18% 가까이 달한다.

기성세대라고 ANC에 대한 불신과 불만은 없는 것은 아니다.

같은 투표소에서 만난 건설업 종사자인 제프 무어(52)는 "지난 30년간 상황이 나빠지기만 했다"면서 만연한 부정부패를 가장 큰 문제로 꼽았다.

이어 "결국 ANC를 중심으로 연정이 구성되지 않겠느냐"면서 "그렇게 되면 ANC의 부정부패가 다른 정당으로도 퍼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올해 들어 여론조사에서 ANC의 지지율이 줄곧 40%대에 그친 것은 이런 민심이 종합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높은 실업률과 만연한 범죄, 부패, 빈부 격차, 물과 전력 부족 등 사회·경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서 ANC의 발목을 잡은 것이다.

결국 실제 총선에서도 ANC는 절반에 한참 못 미치는 40%대 초반의 득표율로 집권 연장을 위해 사상 처음 다른 정당과 연정을 구성해야 하는 처지가 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