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 수요 늘자 제주 항공 좌석 2022년에 비해 급감
제주도, 지사 직속 비대위 구성해 '제주 관광' 혁신 나서

제주 관광업계가 항공편 좌석 감소와 '비계 삼겹살' 논란, 고물가 등 부정적 이미지로 시름이 깊다.

[줌in 제주] '비계 삼겹살' 악재 힘든데 항공좌석도 축소
1일 한국공항공사 통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4월까지 제주∼김포 항공노선 편수는 6만1천96편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1∼4월 7만3천111편에 비해 16.4%(1만2천15편) 감소한 것이다.

2022년에는 코로나19 팬더믹으로 해외여행이 제한되자 여행객들이 발길을 대거 제주로 돌리면서 제주 관광업계가 특수를 누렸다.

제주∼김포 노선 운항 편수는 2021년 1∼4월 6만1천159편, 지난해 1∼4월 6만2천539편이다.

올해 같은 기간(1∼4월) 운항 편수는 2021년 대비 63편(0.1%), 2023년 대비 1천443편(2.3%) 줄어들었다.

연도별 제주∼김포 노선 운항 편수를 보면 2023년 19만1천65편으로 2022년 21만6천445편에 비해 11.7%(2만5천380편) 감소했다.

2021년 21만2천690편과 비교하면 10.2%(2만1천625편)가 줄어들었다.

제주∼김포 노선은 국내선 항공편 중 가장 많은 비행기가 투입된다.

항공사들은 코로나19 팬데믹 종료 이후 해외여행 수요가 되살아나자 제주 출발·도착 항공편 좌석을 국제선으로 대거 돌렸다.

이로인해 제주 노선 항공권 구하기는 어려워지고 가격도 뛰었다.

실례로 5월 어린이날 연휴 때 김포발 제주 노선 항공권은 매진되다시피 했고 가장 싼 항공권 편도 가격이 40만원을 넘기도 했다.

코로나19로 좌석 편이 급증했던 2022년에는 편도 10만원 이하의 비교적 저렴한 항공권도 많았지만, 지금은 10만원이 넘는 수준이다.

제주를 방문하는 관광객 감소 추세도 확연하다.

제주도관광협회 조사에 의하면 지난해 제주를 방문한 관광객은 1천337만529명으로, 2022년 1천388만9천502명보다 3.7% 줄었다.

특히 내국인은 지난해 1천266만1천179명으로, 2022년 1천380만3천58명에 비해 8.3% 하락했다.

최근에는 '비계 삼겹살' 판매 논란과 고물가 등의 부정적인 이미지가 덧씌워지면서 제주 관광업계에 위기론이 번지고 있다.

[줌in 제주] '비계 삼겹살' 악재 힘든데 항공좌석도 축소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제주도는 제주지사와 민간위원을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제주관광 혁신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

비상대책위는 관광 주요 사안별 위기 진단과 해결 방안 마련, 사후관리 등을 맡는다.

제주 여행객의 만족도 향상과 여행 품질관리를 위해 가칭 '제주관광서비스센터'도 설치된다.

제주관광공사와 제주관광협회가 운영하는 제주관광서비스센터는 여행 전 관광 정보 제공, 불편 사항 신고와 신속 대응, 여행객 피드백 등 여행 모든 기간에 걸쳐 소통하며 여행상품 품질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고물가와 관련, 제주도는 빅데이터 기반 관광 물가 지수 개발과 관광상품 및 서비스 실태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제주도는 6월부터 12월까지 빅데이터 기반 관광 물가지수 개발용역을 통해 관광물가지수 개발, 제주 관광 물가 불안 품목 진단, 국내 다른 지역 및 해외 관광지와의 물가 수준 비교·분석 등을 하고 제주 관광 물가 안정화 방안 등도 제시할 계획이다.

제주도관광협회는 11월까지 숙박업과 음식점 등에 대한 가격 및 서비스 실태조사를 하고, 계도·단속 활동도 확대한다.

또 도민과 관광사업체, 관광객이 함께하는 '제주와의 약속' 캠페인을 전개하기로 했다.

올해는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제주 여행객에 대한 존중과 배려, 공정 가격과 우수 서비스 제공 등의 실천 운동을 펼치고, 내년부터는 도민과 관광객이 함께 참여하는 전 국민운동으로 확산하게 한다는 계획이다.

변덕승 제주도 관광교류국장은 "제주 방문 관광객에게 충분한 여행 정보 제공, 불편·불만 사항에 대한 적기 대응을 통해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하고 만족도를 높여 제주 관광이 재도약할 수 있도록 민·관이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