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니뇨 가고 라니냐 오지만...온난화 지속"
지난해 이상 기후의 원인으로 지목됐던 엘니뇨 현상이 올해 하반기에 소멸하고 그 반대 현상인 라니냐가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세계기상기구(WMO)가 3일(현지시간) 전망했다.

WMO는 이날 보도자료에서 "엘니뇨 현상이 종료될 조짐을 보인다"며 "올해 말에는 라니냐 현상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엘니뇨는 적도 부근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것이고, 라니냐는 그 반대다.



WMO 예측센터의 분석에 따르면 작년 7월 시작된 엘니뇨가 잦아들고 라니냐가 도래할 가능성은 올해 6∼8월 50%이지만 7∼9월엔 60%로 오르고, 8∼11월에는 70%까지 증가한다.

기상학자들은 엘니뇨를 온난화를 가속하는 요인으로 설명한다. 지난해 '지구가 가장 더운 해'로 기록됐던 배경에는 엘니뇨 현상이 있었다는 것이다.

반면 라니냐는 지구 기온 상승을 일정 부분 억제하는 효과를 낸다고 대체로 본다. 그러나 WMO는 라니냐가 온다고 해서 현재의 기후변화 양상이 멈출 것이라고 보지 않는다.

앞서 라니냐가 2020년부터 작년 상반기까지 나타났지만 지구 기온은 오히려 상승세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코 배럿 WMO 사무부총장은 "엘니뇨의 종료가 장기적 기후변화의 중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며 "온실가스의 열축적 효과로 온난화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구의 기후는 대기에 더 많이 흡수된 열과 수분으로 더 극단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박근아기자 twilight1093@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