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개 의대 총장 모여 '수업복귀' 대책논의…수업거부 분기점될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첫 '의대 총장 협의체' 구성…교육여건 개선 등 수업복귀 '당근' 머리 맞대
"휴학 승인 논의하겠지만, 휴학이 사태 해결 '정답'은 아냐" 의대 증원에 반발한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의대를 둔 대학 총장들이 '의대 운영 정상화 협의체'를 꾸리고 집단유급을 막을 방법을 논의한다.
교육부가 불허 방침을 유지하고 있는 휴학 승인 필요성부터, 교육여건과 수련방식 개선 등 수업 복귀를 위한 '당근'까지 광범위하게 논의할 계획이다.
정부가 전공의 집단사직 문제에 대한 '출구전략'을 모색하는 것과 맞물려 총장들의 이러한 논의가 의대생 수업 거부 사태를 해결할 분수령이 될지 관심이 쏠린다.
3일 교육계에 따르면 의대 정원 증원분을 배정받은 32개 대학과 서울지역 1개 대학 등 33개 대학 총장은 4일 오후 4시 온라인 화상회의를 열어 의대생 복귀 방안을 논의한다.
홍원화 경북대 총장이 의대생 수업 거부 장기화 사태의 출구를 찾아야 한다고 보고 대학들에 협의체 구성과 회동을 제안했다.
지금껏 교육부가 의대 운영대학 총장이나 교무처장들과 간담회를 연 적은 있지만, 총장들이 협의체를 꾸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홍원화 총장은 "2025학년도의 경우 학칙이 개정되고 사실상 정원 문제는 끝났는데, 2026·2027학년도에도 계속 문제가 발생할 것 같은 상황"이라며 "의대 운영대학 학장이나 교수 협의체는 있지만 총장 협의체는 없기 때문에 총장들이 모여서 학생들에게 '호소하는 마음'으로 의대 정상화 방안을 고민해 보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협의체에 참가하기로 한 다른 대학 총장은 "타이트하게 짜인 시간표대로 진행되는 의대 특성상 지금 당장 복귀해도 시간이 한참 모자라기 때문에 하루라도 빨리 학생들이 돌아와야 한다"라며 "어떻게 학생들을 설득해야 하고, 뭐가 필요한지 한 번 머리를 맞대고 이야기해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일부 의대에서 학생들의 동맹휴학을 승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인 만큼 이번 회의에서 이에 대한 논의가 어떤 식으로 진행될지도 관심이 쏠린다.
대학가 일각에서는 교육부의 방침이 아니더라도 의대생들이 제출한 휴학계를 모두 승인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럴 경우 2025학년도에는 기존보다 1.5배 늘어난 신입생에 더해 휴학을 끝내고 돌아온 학생들까지 한꺼번에 수업을 들어야 하고, 이들이 10년 가까이 함께 교육과 수련을 받아야 하므로 '교육 파행'을 넘어 '교육 불가' 상황이 펼쳐질 것이라는 주장이다.
반대로 휴학을 승인하지 않을 경우 학생들이 유급 등 더 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므로 최대한 휴학을 승인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유급될 경우 휴학과 달리 등록금을 환불받을 수 없고, 기존에 유급한 이력이 있는 학생은 학칙에 따라 퇴교 등 더 큰 불이익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법정 다툼이 펼쳐질 가능성도 있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전공의 사직 사태를 일단락시키기 위해 사직서 수리와 면허정지 등 행정처분 등 '출구전략'을 모색하는 만큼, 총장들이 모색하는 '당근'과 '채찍'에 정부가 호응할 경우 일부 의대생들의 수업 복귀를 이끌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홍원화 총장은 "결론을 내려는 것이 아니라 일단 모여서 난상토론을 해볼 것"이라며 "의대 정상화를 위해 인원·시설·장비 등 정부의 어떤 지원이 필요한지, 수련의 티오가 수도권에 집중된 문제는 어떻게 해야 할지, 휴학이 '정답'은 아닌데 지금 정말 필요한 것인지 등 다양한 내용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휴학 승인 논의하겠지만, 휴학이 사태 해결 '정답'은 아냐" 의대 증원에 반발한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의대를 둔 대학 총장들이 '의대 운영 정상화 협의체'를 꾸리고 집단유급을 막을 방법을 논의한다.
교육부가 불허 방침을 유지하고 있는 휴학 승인 필요성부터, 교육여건과 수련방식 개선 등 수업 복귀를 위한 '당근'까지 광범위하게 논의할 계획이다.
정부가 전공의 집단사직 문제에 대한 '출구전략'을 모색하는 것과 맞물려 총장들의 이러한 논의가 의대생 수업 거부 사태를 해결할 분수령이 될지 관심이 쏠린다.
3일 교육계에 따르면 의대 정원 증원분을 배정받은 32개 대학과 서울지역 1개 대학 등 33개 대학 총장은 4일 오후 4시 온라인 화상회의를 열어 의대생 복귀 방안을 논의한다.
홍원화 경북대 총장이 의대생 수업 거부 장기화 사태의 출구를 찾아야 한다고 보고 대학들에 협의체 구성과 회동을 제안했다.
지금껏 교육부가 의대 운영대학 총장이나 교무처장들과 간담회를 연 적은 있지만, 총장들이 협의체를 꾸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홍원화 총장은 "2025학년도의 경우 학칙이 개정되고 사실상 정원 문제는 끝났는데, 2026·2027학년도에도 계속 문제가 발생할 것 같은 상황"이라며 "의대 운영대학 학장이나 교수 협의체는 있지만 총장 협의체는 없기 때문에 총장들이 모여서 학생들에게 '호소하는 마음'으로 의대 정상화 방안을 고민해 보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협의체에 참가하기로 한 다른 대학 총장은 "타이트하게 짜인 시간표대로 진행되는 의대 특성상 지금 당장 복귀해도 시간이 한참 모자라기 때문에 하루라도 빨리 학생들이 돌아와야 한다"라며 "어떻게 학생들을 설득해야 하고, 뭐가 필요한지 한 번 머리를 맞대고 이야기해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일부 의대에서 학생들의 동맹휴학을 승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인 만큼 이번 회의에서 이에 대한 논의가 어떤 식으로 진행될지도 관심이 쏠린다.
대학가 일각에서는 교육부의 방침이 아니더라도 의대생들이 제출한 휴학계를 모두 승인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럴 경우 2025학년도에는 기존보다 1.5배 늘어난 신입생에 더해 휴학을 끝내고 돌아온 학생들까지 한꺼번에 수업을 들어야 하고, 이들이 10년 가까이 함께 교육과 수련을 받아야 하므로 '교육 파행'을 넘어 '교육 불가' 상황이 펼쳐질 것이라는 주장이다.
반대로 휴학을 승인하지 않을 경우 학생들이 유급 등 더 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므로 최대한 휴학을 승인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유급될 경우 휴학과 달리 등록금을 환불받을 수 없고, 기존에 유급한 이력이 있는 학생은 학칙에 따라 퇴교 등 더 큰 불이익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법정 다툼이 펼쳐질 가능성도 있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전공의 사직 사태를 일단락시키기 위해 사직서 수리와 면허정지 등 행정처분 등 '출구전략'을 모색하는 만큼, 총장들이 모색하는 '당근'과 '채찍'에 정부가 호응할 경우 일부 의대생들의 수업 복귀를 이끌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홍원화 총장은 "결론을 내려는 것이 아니라 일단 모여서 난상토론을 해볼 것"이라며 "의대 정상화를 위해 인원·시설·장비 등 정부의 어떤 지원이 필요한지, 수련의 티오가 수도권에 집중된 문제는 어떻게 해야 할지, 휴학이 '정답'은 아닌데 지금 정말 필요한 것인지 등 다양한 내용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