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저기술 제품 수출 증가…무역전쟁 전선 신흥국으로 확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철강·사료 등 수출 증가에 중 무역흑자 급증…미·EU 이어 아시아도 경계
중국이 미국, 유럽연합(EU) 등 선진국과 무역전쟁을 벌이는 가운데 신흥국으로도 전선이 확산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5일(현지시간) 철강과 동물 사료 등 중국의 저기술 제품 수출이 급증하면서 동남아시아 등 다른 무역국에서도 반발이 나올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이미 전기자동차(EV) 등으로 서구 국가들과 긴장 관계다.
EU는 중국산 전기차에 관세 부과를 결정할 예정이고, 미국은 이미 비슷한 조처를 했으며, 캐나다도 움직일 수 있다.
자체 자동차 산업이 없는 대부분 지역에선 대중 무역 관계가 이슈가 아니었는데 최근 중국의 제조업 무역 흑자가 크게 늘면서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말레이시아 옹 키안 밍 전 국제통상산업부 차관은 "중국의 무역 파트너 국가들은 중국이 주택 관련 과잉 생산으로 인해 자재 일부를 외국 시장에 투기할 것으로 우려한다"고 말했다.
중국산 제품을 대상으로 하는 반보조금, 반덤핑 등이 역대 최대 규모에 달하는 등 이미 대응이 시작됐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전했다.
세계무역기구(WTO)에 따르면 대부분은 주요 7개국(G7)의 조치이지만, 반덤핑은 인도, 한국 등 더 다양한 나라에서도 도입했고 철강, 풍력 타워 등 많은 제품이 대상이 됐다.
블룸버그 분석에 따르면 중국의 철강 수출은 3월 1천300만t으로 역대 최대였고 4월에도 비슷한 수준이다.
가격은 3년간 급락했다.
이에 일부 남미 국가들은 자국 업체 보호를 위해 관세를 부과했다.
미국도 8월에 관세 인상을 시작할 예정이다.
인도 타타 스틸 등이 타격을 받는 등 영향이 나타나자 베트남과 인도 기업들이 불만을 제기하고 있고 태국과 사우디아라비아는 신규 부과금을 고려 중이다.
돼지 사료로 쓰이는 대두박 수출은 올해 들어 4개월간 약 60만t으로 작년 동기대비 거의 5배로 뛰었다.
경기 둔화로 돼지고기 수요가 줄어들고 사료 판매도 감소하자 중국 생산업자들은 남는 물량을 외국으로 밀어 보냈다.
석유화학제품 생산도 넘쳐나서 한국과 일본 등 이웃 국가의 화학산업에 파괴적 영향을 주고 있다.
중국은 원유, 프로판 등 원료를 더 많이 사들이고 반정제 제품 수입은 덜 한다.
이 과정에 한국에서 최소 한 군데 시설이 폐쇄됐다.
다만 아직은 중국산 저가 제품을 반기는 국가들이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태양광 패널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심각한 전력난 해소에 도움이 됐고, 중국과 관계가 썩 좋지 않은 인도에서도 수요가 늘었다.
브라질과 튀르키예는 중국 전기차 직수입 장벽은 높였지만 공장 유치에는 힘을 기울였다.
유럽에서도 중국산 전기차 관세 인상이 얘기되는 중에도 막상 판매는 증가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전날 올해 유럽 내 중국산 전기차 신규 등록이 23% 늘었다고 보도했다.
배터리 구동 자동차 판매를 분석하는 슈미트 자동차 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4개월간 영국 등 서유럽서 판매된 중국산 전기차는 11만9천300대로, 전체 전기차 수입의 20%를 차지했다.
테슬라, 폭스바겐, 혼다 등의 외국 브랜드가 중국산 전기차 수입의 54%를 차지했다.
중국은 생산비가 더 저렴하기 때문에 외국 브랜드들도 중국 공장에서 만들어서 유럽으로 수입하고 있다.
이에 테슬라, 메르세데스 벤츠, 폴크스바겐 등 세계적 자동차 업체들이 중국 보복을 우려하며 미·유럽의 대중 자동차 관세 부과에 반대하고 있다.
중국 비야디(BYD)가 유럽에 두 번째 공장 부지를 찾기 시작했다고 발표하는 등 일부 업체는 위험 회피에 나섰다.
한편으론 시장점유율 상위권을 노리는 업체로선 관세 인상을 고려하면 전기차 수입이 장기적 선택은 될 수 없다고 FT는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유럽 시장에서 중국 전기차 성장세가 둔화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소비자들이 중국 브랜드를 잘 모르기 때문이다.
/연합뉴스
블룸버그는 5일(현지시간) 철강과 동물 사료 등 중국의 저기술 제품 수출이 급증하면서 동남아시아 등 다른 무역국에서도 반발이 나올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이미 전기자동차(EV) 등으로 서구 국가들과 긴장 관계다.
EU는 중국산 전기차에 관세 부과를 결정할 예정이고, 미국은 이미 비슷한 조처를 했으며, 캐나다도 움직일 수 있다.
자체 자동차 산업이 없는 대부분 지역에선 대중 무역 관계가 이슈가 아니었는데 최근 중국의 제조업 무역 흑자가 크게 늘면서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말레이시아 옹 키안 밍 전 국제통상산업부 차관은 "중국의 무역 파트너 국가들은 중국이 주택 관련 과잉 생산으로 인해 자재 일부를 외국 시장에 투기할 것으로 우려한다"고 말했다.
중국산 제품을 대상으로 하는 반보조금, 반덤핑 등이 역대 최대 규모에 달하는 등 이미 대응이 시작됐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전했다.
세계무역기구(WTO)에 따르면 대부분은 주요 7개국(G7)의 조치이지만, 반덤핑은 인도, 한국 등 더 다양한 나라에서도 도입했고 철강, 풍력 타워 등 많은 제품이 대상이 됐다.
블룸버그 분석에 따르면 중국의 철강 수출은 3월 1천300만t으로 역대 최대였고 4월에도 비슷한 수준이다.
가격은 3년간 급락했다.
이에 일부 남미 국가들은 자국 업체 보호를 위해 관세를 부과했다.
미국도 8월에 관세 인상을 시작할 예정이다.
인도 타타 스틸 등이 타격을 받는 등 영향이 나타나자 베트남과 인도 기업들이 불만을 제기하고 있고 태국과 사우디아라비아는 신규 부과금을 고려 중이다.
돼지 사료로 쓰이는 대두박 수출은 올해 들어 4개월간 약 60만t으로 작년 동기대비 거의 5배로 뛰었다.
경기 둔화로 돼지고기 수요가 줄어들고 사료 판매도 감소하자 중국 생산업자들은 남는 물량을 외국으로 밀어 보냈다.
석유화학제품 생산도 넘쳐나서 한국과 일본 등 이웃 국가의 화학산업에 파괴적 영향을 주고 있다.
중국은 원유, 프로판 등 원료를 더 많이 사들이고 반정제 제품 수입은 덜 한다.
이 과정에 한국에서 최소 한 군데 시설이 폐쇄됐다.
다만 아직은 중국산 저가 제품을 반기는 국가들이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태양광 패널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심각한 전력난 해소에 도움이 됐고, 중국과 관계가 썩 좋지 않은 인도에서도 수요가 늘었다.
브라질과 튀르키예는 중국 전기차 직수입 장벽은 높였지만 공장 유치에는 힘을 기울였다.
유럽에서도 중국산 전기차 관세 인상이 얘기되는 중에도 막상 판매는 증가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전날 올해 유럽 내 중국산 전기차 신규 등록이 23% 늘었다고 보도했다.
배터리 구동 자동차 판매를 분석하는 슈미트 자동차 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4개월간 영국 등 서유럽서 판매된 중국산 전기차는 11만9천300대로, 전체 전기차 수입의 20%를 차지했다.
테슬라, 폭스바겐, 혼다 등의 외국 브랜드가 중국산 전기차 수입의 54%를 차지했다.
중국은 생산비가 더 저렴하기 때문에 외국 브랜드들도 중국 공장에서 만들어서 유럽으로 수입하고 있다.
이에 테슬라, 메르세데스 벤츠, 폴크스바겐 등 세계적 자동차 업체들이 중국 보복을 우려하며 미·유럽의 대중 자동차 관세 부과에 반대하고 있다.
중국 비야디(BYD)가 유럽에 두 번째 공장 부지를 찾기 시작했다고 발표하는 등 일부 업체는 위험 회피에 나섰다.
한편으론 시장점유율 상위권을 노리는 업체로선 관세 인상을 고려하면 전기차 수입이 장기적 선택은 될 수 없다고 FT는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유럽 시장에서 중국 전기차 성장세가 둔화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소비자들이 중국 브랜드를 잘 모르기 때문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