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개 상임위원장 독점'도 시사…우원식 의장 결정 주목
민주, 원구성 협상 압박…"국회법 준수해 모레 완료해야"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 첫 본회의가 열리는 5일 국민의힘을 향해 국회법을 지켜 원(院) 구성 협상을 마무리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국회법에 명시된 시한을 지키지 못하면 18개 상임위 위원장을 민주당이 모두 가져올 수 있다는 으름장도 놨다.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나와 "(22대 국회) 임기 시작 일주일째인 오늘 의장을 선출하고, 그로부터 3일 이내인 7일에 상임위원장을 선출해 원 구성을 완료하는 것이 국회법을 준수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이 법제사법위원장과 운영위원장,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을 우선 확보 대상으로 삼은 가운데 국민의힘은 이들 자리는 관례상 여당 몫이라고 맞서면서 원 구성 협상은 공전 중이다.

민주당은 야당이 압승한 총선 결과가 윤석열 정권을 제대로 견제하고 감시하라는 국민의 명령인 만큼 세 자리는 절대 양보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 세 자리를 포함해 현재처럼 11곳의 상임위원장을 가져오겠다는 것이다.

박 수석부대표는 '18개 상임위를 독식하는 카드도 있나'라는 물음에도 "법대로 해야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원 구성에 끝내 합의하지 못하면 민주당의 과반 의석을 활용해 7일 본회의에서 단독으로 상임위원장 배분 관련 안건을 표결하겠다는 것이다.

여야가 원 구성 문제로 대치하면서 국회의장 후보인 민주당 우원식 의원이 어떤 결정을 내릴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우 의원은 이날 본회의 표결을 거쳐 의장으로 선출되고 나면 곧바로 여야 원내대표를 불러 원 구성 협상 상황을 듣고 중재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우 의원은 국회법 원칙을 존중한다는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대화를 통해 합의를 도출하는 노력을 막판까지 해보겠다는 구상이다.

정치권 일각에선 우 의원이 일방적으로 야당 의견을 수용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부담스러울 수 있다는 점에서 민주당이 원하는 11곳의 상임위원장만 먼저 선출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