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억 집이 8억 됐다" 충격…'발 동동' 세입자들 결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서울 집값 11주 연속 상승…오름폭도 ↑
"만기 전셋값 충격…매수 나서는 경우 늘어"
서울 집값 11주 연속 상승…오름폭도 ↑
"만기 전셋값 충격…매수 나서는 경우 늘어"
서울 집값 오름폭이 커지고 있다.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고 있지만, 전셋값이 1년 넘게 가파르게 치솟으면서 내 집 마련에 나서는 무주택자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6월 첫 주 서울 아파트값은 0.09% 올랐다. 11주 연속으로 오름세를 보이는 가운데 상승 폭도 전주 0.06%보다 확대됐다.
가장 많이 오른 자치구는 성동구다. 성동구는 전주에 이어 0.19% 상승하며 상승 폭을 유지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서 성동구 금호동 '신금호파크자이' 전용 59㎡는 지난 1일 13억5500만원(6층)에 팔린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층을 기준으로 지난해 12월 12억3000만원이던 실거래가는 지난 4월 12억5800만원, 12억8000만원으로 올라오더니 반년 만에 1억2500만원 뛰었다.
행당동 '행당한진타운' 전용 59㎡도 같은 날 10억2000만원(12층)에 손바뀜됐다. 올해 1월 8억8000만원(3층)으로 거래를 시작한 이 아파트는 지난 3월만 하더라도 8억원대 거래가 체결됐지만, 이후 집값이 빠르게 상승하며 10억원대에 안착했다. 상왕십리동 '텐즈힐2' 전용 59㎡도 지난달 29일 12억8700만원(9층)에 팔리면서 지난 3월 12억4000만원(10층)에서 두 달 만에 5000만원 가까이 올랐다.
행당동 개업중개사는 "주말마다 집을 보겠다는 예약이 가득 찼다"며 "올해 1월만 하더라도 문의가 많지 않았는데, 2~3월 들어 분위기가 급격하게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다른 개업중개사도 "강남이나 광화문에 일터를 가지고 있는 신혼부부들의 문의가 많다"며 "일대 집값이 반년 사이에 1억원 넘게 뛰었다"고 말했다. 현장에서는 치솟는 전셋값이 매매가를 밀어 올리고 있다고 지적한다. 금호동 개업중개사는 "신금호파크자이 전용 59㎡ 전셋값이 4년 전만 하더라도 4억원 후반에서 5억원 초반이었다"며 "계약 만기를 앞두고 같은 집 전셋값이 8억원에 육박하자 아예 매수를 시도하는 경우가 제법 많다"고 귀띔했다.
성동구는 올해 서울에서 전셋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서만 3.29% 상승했는데, 같은 기간 서울 평균 전셋값 상승률 1.7%의 두 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그렇다 보니 같은 기간 집값도 0.86% 오르며 서울 자치구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6월 첫 주 성동구(0.19%) 다음으로는 종로·송파·서초구가 0.14% 상승했다. 종로구는 창신·홍파·무악동 위주로, 송파구는 잠실·신천동 위주로, 서초구는 잠원·반포동 위주로 오름세를 보였다. 이어 용산구가 이촌동 주요 단지 위주로 0.13% 뛰었고 서대문구와 강남구도 남가좌·북아현동, 압구정·역삼·대치동 주요 단지 중심으로 각각 0.12% 올랐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주택시장 불확실성 해소되지 않아 전반적으로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다"면서도 "지역별 선호단지 중소형 규모 위주로 매수 문의가 꾸준히 유지되면서 호가가 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전셋값도 0.1% 오르며 상승세를 유지했다. 은평구가 신사·응암동 구축 위주로 0.2% 뛰었고 서대문구는 북아현·홍제동 역세권 대단지 위주로 0.16%, 중구는 회현동1가·회현동2가 역세권 소형 규모 위주로 0.14% 올랐다. 양천구는 목·신월동 중소 규모 위주로 0.13%, 성북구도 동소문동4가·삼선동3가 신축 위주로 0.12% 오름세를 보였다.
한국부동산원은 "매물이 부족해 호가와 거래가격 모두 오르고 있다"며 "특히 역세권과 대단지, 소형 규모 위주로 대기수요가 많아 인근 구축으로도 상승거래가 확산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6월 첫 주 서울 아파트값은 0.09% 올랐다. 11주 연속으로 오름세를 보이는 가운데 상승 폭도 전주 0.06%보다 확대됐다.
가장 많이 오른 자치구는 성동구다. 성동구는 전주에 이어 0.19% 상승하며 상승 폭을 유지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서 성동구 금호동 '신금호파크자이' 전용 59㎡는 지난 1일 13억5500만원(6층)에 팔린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층을 기준으로 지난해 12월 12억3000만원이던 실거래가는 지난 4월 12억5800만원, 12억8000만원으로 올라오더니 반년 만에 1억2500만원 뛰었다.
행당동 '행당한진타운' 전용 59㎡도 같은 날 10억2000만원(12층)에 손바뀜됐다. 올해 1월 8억8000만원(3층)으로 거래를 시작한 이 아파트는 지난 3월만 하더라도 8억원대 거래가 체결됐지만, 이후 집값이 빠르게 상승하며 10억원대에 안착했다. 상왕십리동 '텐즈힐2' 전용 59㎡도 지난달 29일 12억8700만원(9층)에 팔리면서 지난 3월 12억4000만원(10층)에서 두 달 만에 5000만원 가까이 올랐다.
행당동 개업중개사는 "주말마다 집을 보겠다는 예약이 가득 찼다"며 "올해 1월만 하더라도 문의가 많지 않았는데, 2~3월 들어 분위기가 급격하게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다른 개업중개사도 "강남이나 광화문에 일터를 가지고 있는 신혼부부들의 문의가 많다"며 "일대 집값이 반년 사이에 1억원 넘게 뛰었다"고 말했다. 현장에서는 치솟는 전셋값이 매매가를 밀어 올리고 있다고 지적한다. 금호동 개업중개사는 "신금호파크자이 전용 59㎡ 전셋값이 4년 전만 하더라도 4억원 후반에서 5억원 초반이었다"며 "계약 만기를 앞두고 같은 집 전셋값이 8억원에 육박하자 아예 매수를 시도하는 경우가 제법 많다"고 귀띔했다.
성동구는 올해 서울에서 전셋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서만 3.29% 상승했는데, 같은 기간 서울 평균 전셋값 상승률 1.7%의 두 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그렇다 보니 같은 기간 집값도 0.86% 오르며 서울 자치구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6월 첫 주 성동구(0.19%) 다음으로는 종로·송파·서초구가 0.14% 상승했다. 종로구는 창신·홍파·무악동 위주로, 송파구는 잠실·신천동 위주로, 서초구는 잠원·반포동 위주로 오름세를 보였다. 이어 용산구가 이촌동 주요 단지 위주로 0.13% 뛰었고 서대문구와 강남구도 남가좌·북아현동, 압구정·역삼·대치동 주요 단지 중심으로 각각 0.12% 올랐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주택시장 불확실성 해소되지 않아 전반적으로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다"면서도 "지역별 선호단지 중소형 규모 위주로 매수 문의가 꾸준히 유지되면서 호가가 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전셋값도 0.1% 오르며 상승세를 유지했다. 은평구가 신사·응암동 구축 위주로 0.2% 뛰었고 서대문구는 북아현·홍제동 역세권 대단지 위주로 0.16%, 중구는 회현동1가·회현동2가 역세권 소형 규모 위주로 0.14% 올랐다. 양천구는 목·신월동 중소 규모 위주로 0.13%, 성북구도 동소문동4가·삼선동3가 신축 위주로 0.12% 오름세를 보였다.
한국부동산원은 "매물이 부족해 호가와 거래가격 모두 오르고 있다"며 "특히 역세권과 대단지, 소형 규모 위주로 대기수요가 많아 인근 구축으로도 상승거래가 확산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