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AI 나오는 소설 쓰는 도중에 이미 현실화…돼 결국 수정했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책마을 사람들 - 이정명 작가
위험한 AI 다룬 <안티 사피엔스>
안티 사피엔스
이정명 지음 / 은행나무
304쪽|1만7000원
위험한 AI 다룬 <안티 사피엔스>
안티 사피엔스
이정명 지음 / 은행나무
304쪽|1만7000원
8년 전 이세돌 9단과 구글 딥마인드가 개발한 바둑 인공지능(AI) 알파고의 대국에서 이정명 작가(59·사진)의 주목을 끈 건 이세돌도 알파고도 아니었다. 알파고를 대신해 바둑돌을 놔준 아자황 딥마인드 연구원이었다. 물을 마시지도 않고, 화장실도 가지 않으면서 AI의 명령을 충실히 수행하는 아자황의 모습에서 인류의 미래를 봤다.
<뿌리 깊은 나무> <바람의 화원> 등 인기 드라마의 원작 소설을 쓴 이정명이 최근 새로 낸 장편소설 <안티 사피엔스>는 이때부터 구상이 시작됐다. AI가 초고도로 발달한 근미래를 배경으로 악(惡)을 학습한 AI가 인간을 위협하는 내용의 소설이다.
소설에선 프리젠터란 새로운 직업이 등장한다. 현실과 가상현실을 넘나들며 자잘한 심부름을 하는 미래의 심부름꾼이다. 육체가 없는 가상인간, AI의 명령을 받고 살인 등 범죄까지 서슴지 않는 프리젠터는 기계의 지배를 받는 인류를 상징한다. 이 작가는 “인류가 미래에 본인의 의지 없이 고도로 발달한 기계의 손발로 전락할 수도 있겠다는 두려움이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AI가 창조주인 인간을 위협하는 건 어쩌면 이미 현실이 돼버렸는지도 모른다. 인간의 편견과 욕망 등을 데이터로 학습한 AI가 편향적인 알고리즘이나 차별을 조장하는 답변 등으로 인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이 작가는 “AI가 학습하는 건 결국 인간”이라며 “기술이 고도화할수록 인간 자체에 대한 통찰을 좀 더 깊이 하는 게 중요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이번 작품은 같은 상황을 각 등장인물의 시선으로 다양하게 보여준다. 일종의 모자이크 형식으로 조각 조각의 관점을 모아 전체 이야기를 완성한다. 이 작가는 “AI와 인간이 대립하는 긴박감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반전을 보여주기 위한 장치”라고 설명했다.
집필 과정에서 AI 기술 발전 속도가 너무 빨라 애를 먹었다고. 2022년 말 초고를 끝냈을 무렵 생성형 AI 챗GPT가 등장해 이 작가가 소설에서 묘사한 근미래의 모습이 현실이 돼버린 것이다. 그는 “현실에서 이미 구현된 기술은 걷어내고 기술을 좀 더 고도화하는 식으로 원고를 수정했다”고 밝혔다.
이 작가는 적어도 3~4년마다 장편소설을 꾸준히 낸다. 그는 “다음 소설은 여러 대에 걸친 한 가족의 이야기”라고 했다.
신연수 기자/사진=임형택 기자 sys@hankyung.com
<뿌리 깊은 나무> <바람의 화원> 등 인기 드라마의 원작 소설을 쓴 이정명이 최근 새로 낸 장편소설 <안티 사피엔스>는 이때부터 구상이 시작됐다. AI가 초고도로 발달한 근미래를 배경으로 악(惡)을 학습한 AI가 인간을 위협하는 내용의 소설이다.
소설에선 프리젠터란 새로운 직업이 등장한다. 현실과 가상현실을 넘나들며 자잘한 심부름을 하는 미래의 심부름꾼이다. 육체가 없는 가상인간, AI의 명령을 받고 살인 등 범죄까지 서슴지 않는 프리젠터는 기계의 지배를 받는 인류를 상징한다. 이 작가는 “인류가 미래에 본인의 의지 없이 고도로 발달한 기계의 손발로 전락할 수도 있겠다는 두려움이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AI가 창조주인 인간을 위협하는 건 어쩌면 이미 현실이 돼버렸는지도 모른다. 인간의 편견과 욕망 등을 데이터로 학습한 AI가 편향적인 알고리즘이나 차별을 조장하는 답변 등으로 인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이 작가는 “AI가 학습하는 건 결국 인간”이라며 “기술이 고도화할수록 인간 자체에 대한 통찰을 좀 더 깊이 하는 게 중요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이번 작품은 같은 상황을 각 등장인물의 시선으로 다양하게 보여준다. 일종의 모자이크 형식으로 조각 조각의 관점을 모아 전체 이야기를 완성한다. 이 작가는 “AI와 인간이 대립하는 긴박감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반전을 보여주기 위한 장치”라고 설명했다.
집필 과정에서 AI 기술 발전 속도가 너무 빨라 애를 먹었다고. 2022년 말 초고를 끝냈을 무렵 생성형 AI 챗GPT가 등장해 이 작가가 소설에서 묘사한 근미래의 모습이 현실이 돼버린 것이다. 그는 “현실에서 이미 구현된 기술은 걷어내고 기술을 좀 더 고도화하는 식으로 원고를 수정했다”고 밝혔다.
이 작가는 적어도 3~4년마다 장편소설을 꾸준히 낸다. 그는 “다음 소설은 여러 대에 걸친 한 가족의 이야기”라고 했다.
신연수 기자/사진=임형택 기자 s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