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들 "국장은 답 없다" 올해 11조 순매도…美株로 '주식이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AI株 올라탄 서학개미…美주식 보유액 800억달러
수익 있는곳에 돈 몰린다
엔비디아·MS·알파벳 AI株 급등
美주식 8조 매수, 개미이탈 가속
해외 주식투자 90%가 美 쏠림
관련 펀드·ETF에도 뭉칫돈 유입
박스피에 실망…국내증시 외면
단기 수익률 좇는 것도 원인
수익 있는곳에 돈 몰린다
엔비디아·MS·알파벳 AI株 급등
美주식 8조 매수, 개미이탈 가속
해외 주식투자 90%가 美 쏠림
관련 펀드·ETF에도 뭉칫돈 유입
박스피에 실망…국내증시 외면
단기 수익률 좇는 것도 원인

개인 투자자들이 ‘국장’(국내 증권시장)에서 ‘미장’으로 물밀듯 빠져나가고 있다. 국내 증시 지수가 박스권에 머물렀지만 미국 증시는 올 들어 강세를 이어가고 있어서다. 공모펀드·상장지수펀드(ETF) 등에서도 미국 주식 투자 규모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美 주식은 8조원 순매수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7일까지 개인 투자자는 유가증권시장에서 11조5142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같은 기간 국내 투자자는 미국 주식을 60억7148만달러(약 8조3847억원)어치 순매수했다. 국내 투자자들이 미국 주식을 앞다퉈 사들인 영향으로 미국 주식 보유금액은 지난 6일 기준 사상 최대인 821억1849만달러를 기록했다.서학개미들의 미국 주식 보유 금액은 해외 투자 열풍이 불기 시작한 2020년 초만 해도 91억4971만달러에 불과했지만 2021년 말엔 677억7870만달러까지 늘어났다.

지수 상승률 격차가 크게 벌어진 게 근본적인 원인으로 꼽힌다. 올해 들어 이달 7일까지 미국 S&P500지수가 12.74% 상승하는 동안 코스피지수는 2.54% 오르는 데 그쳤다. 펀드 수익률도 국내 펀드를 압도하고 있다. 연초 이후 국내 주식형 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2.98%에 그쳤지만 북미 주식형 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17.21%에 달했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수석연구위원은 “올 들어 글로벌 증시에서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등 인공지능(AI) 관련 종목들이 주도주로 떠오르자 개인들은 고수익을 좇아 미국 증시로 대거 건너갔다”고 말했다.
개인들의 해외 증시 투자 열기가 커지는 가운데 미국 증시 의존도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6일 기준 국내 투자자의 전체 해외 주식 보유액은 913억8893만달러다. 이 중 미국 주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89.85%에 달한다. 해외 주식 보유액 중 미국 주식 비중은 2019년 말 58.22%였는데 2020년 79.3%, 지난해 88.51%에 달하는 등 높아지고 있다.
“박스피에 단기 수익률 집중”
전문가들은 개인이 단기 수익률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는 점도 국내 증시가 외면받는 원인이라고 보고 있다. 올해 개인이 가장 많이 순매도한 종목은 현대차(3조6154억원)다. 현대차가 호실적과 밸류업 프로그램 기대감으로 연초 이후 32.17% 상승했지만 대부분의 투자자는 단기 차익을 실현했다. SK하이닉스 역시 올해 들어 45.72% 급등했지만 개인은 올해 이 종목을 1조2146억원어치 팔았다.김승현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개인 투자자들은 국내 종목 주가가 오름세를 보여도 비교적 빨리 차익을 실현하려는 경향이 강하다”며 “글로벌 증시 투자가 늘어나면서 이런 경향은 강해지고 있다”고 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