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데 0칼로리'…요즘 대세 '로우 스펙 푸드' 뭐길래 [현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24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 가보니
유통업체·바이어 '로우스펙푸드'에 관심
유통업체·바이어 '로우스펙푸드'에 관심

11일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4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에서 만난 한 국내 중소 식품기업 바이어는 "최근 웰니스(건강) 트렌드에 맞춘 '로우 스펙 푸드'를 찾으러 왔다"며 이같이 말했다.
로우 스펙 푸드에 관심을 보이는 건 이 바이어뿐만이 아니었다. 이날 420여 개 사가 넘는 국내외 유통업계 관계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은 건 각 브랜드에서 '저당류', '저칼로리'란 문구를 내건 음식들이었다. 행사장에서는 한 부스 건너마다 로우 스펙 푸드의 대명사로 꼽히는 제로 칼로리 및 제로 슈거 음료, 저칼로리 아이스크림과 가공식품 등이 전시돼 있었다.
매대 앞에 길게 줄이 늘어선 부스 중 한 곳은 단맛을 내는 대체 감미료 알룰로스를 전시한 삼양사였다. 삼양사는 2016년 자체 효소 기술 기반의 액상 알룰로스 개발에 성공하고 2020년부터 양산을 시작했다. 알룰로스는 무화과와 포도 등에 희소하게 존재하는 당류에서 얻는다. 설탕의 70% 정도의 단맛을 내지만 칼로리는 1g당 0∼0.2kcal에 불과하다. 현재 롯데칠성음료와 오리온, 빙그레, 농심, 매일유업 등 국내 대형 식품업계에서 삼양사의 알룰로스를 사용한 제로 식품군을 선보이고 있다.

올해 초 편의점 세븐일레븐과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쿠팡, 롯데홈쇼핑 등 채널에 저칼로리 비건 아이스크림 브랜드 '나이스케키'를 입점시킨 서스테이블은 로우 스펙 푸드 인기에 자사 제품 수요가 급증했다고 전했다.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나이스케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배 넘게 뛰었다는 설명. 서스테이블 관계자는 "통상 아이스크림에 사용하는 우유와 계란을 넣지 않았는데도 맛이 일반 아이스크림과 다르지 않아서 소비자들이 거부감 없이 즐기는 편"이라며 "아이스크림 1통(474mL 용량 기준)에 800kcal가 넘는 제품과 비교하면 동일 용량이 310kcal로 저칼로리"라고 자신했다.

지난 1월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도 식생활 트렌드를 주제로 온라인 언급량과 키워드를 분석해 발표한 보고서에서 '놓쳐선 안 될 식품 트렌드'로 로우 스펙 푸드를 꼽은 바 있다. 정부에서도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만큼 유통업계에서의 관심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오유경 식약처 차장은 지난 5일 전국편의점산업협회, GS25, CU, 세븐일레븐 등 편의점 업계 관계자 10명과 간담회를 열고 건강 먹거리 매장 확대, 나트륨·당류 저감 제품 유통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고양=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