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를 막아준다는 기술의 허상… 영생은 가능한 것인가? [서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는 왜 죽는가
벤키 라마크리슈난 지음
강병철 옮김 / 김영사
432쪽│2만2000원
벤키 라마크리슈난 지음
강병철 옮김 / 김영사
432쪽│2만2000원
기대수명이 나날이 늘어가는 가운데, 항노화의 비법을 속삭이는 책들이 해마다 수십권씩 쏟아져나온다. 과학기술이 발전하며 인간이 더 젊고 오래 살 것이란 낙관적인 시나리오가 대다수다. 인체냉동보존술, 인공장기 복제술, 홍해파리와 히드라 등 영생을 누린다는 동물의 추출물까지….
신간 <우리는 왜 죽는가>를 쓴 벤키 리마크리슈난은 조금 다른 입장을 견지한다. 분자생물학의 권위자인 저자는 '21세기 불로초'를 향한 작금의 연구 성과를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리보솜의 분자 구조를 규명하며 2009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그는 이렇게 진단한다.
"이 분야는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고, 공적 및 사적으로 엄청난 자금이 투자되며, 그로 인해 엄청난 거품이 끼어 있다. (중략) 우리가 노화와 죽음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는지 솔직하고 객관적으로 설명해야 할 시점이다."
노화와 죽음을 정복하려는 시도는 까마득한 옛날부터 있었다. 중국 진시황이 병마용을 세우고, 중세 연금술사들이 현자의 돌을 찾아 헤매던 때보다 우리가 훨씬 많은 걸 알게 된 건 사실이다. 오늘날 과학자들은 노화를 '분자 세포 조직이 입은 손상이 축적되며 점점 쇠약해지고 결국 죽음을 맞는 현상'으로 정의한다. 항노화 기술을 점검하기에 앞서 저자는 '죽음은 왜 존재할까'란 본질적인 질문을 던진다. 그냥 영원히 살면 안 되나. 모든 개체는 생존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진화를 거듭해왔을 것인데, 생존과 정반대인 죽음이 여태 존재하는 이유는 뭘까.
명쾌한 정답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생물학자인 조지 윌리엄스는 '길항적 다면발현'을 주장했다. 서로 대항적인 특징을 동시에 갖고 있는 유전자가 있는데 그것의 특징들이 시차를 두고 나타난다는 이론이다. 이런 유전자는 삶의 초반에 도움을 주는 특징이 나타나고, 번식이 끝난 이후 노년기에는 악영향을 주는 특징이 나타난다. 두 가지의 특징을 나누면 좋겠지만 그럴 수 없기 때문에 죽게 되는 것이다.
이 밖에도 긴 수명을 포기하는 대신 유전자를 전할 기회를 높였다는 '일회용 신체가설', 늙은 개체가 젊은 개체한테 자원을 양보하는 것이라는 '희생이론' 등이 있다. 죽음에 대한 가설은 대부분 인체 그 자체보다는 유전자(DNA)의 전파를 전제하는 경우가 많다.
죽음의 원인이 어찌됐던 현재 연구 성과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싶은 독자라면 책의 11장을 따로 정독할 만하다. 인체냉동보존술, 뇌 이식술, 레스페라트롤과 메트포민 등 그럴듯한 이름으로 포장된 '생명의 샘'들이 과학적 근거가 없다고 설파하는 대목이다. 소제목은 '미치광이일까, 선지자일까'. 먼 미래가 돼서야 진위가 밝혀질 문제다.
저자는 "인체냉동보존술이 성공을 거두리라고 믿을 만한 증거는 티끌만큼도 없다"고 단언한다. 몸에 부동액을 주입하는 시점부터 이미 몸속의 세포가 하나하나 엄청나게 파괴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암과 노화를 해결해준다고 선전하는 항산화 보충제는 또 어떤가. 2007년 진행된 한 연구에서 23만명의 항산화제 복용자를 분석한 결과 베타-카로틴, 비타민 A 등 일부 성분은 오히려 사망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령 이러한 연구들이 사실이라고 해도, 사회에 바람직한 효과를 가져올지는 따로 검토해야 할 문제다. 저자는 수명 연장으로 불평등이 훨씬 커질 것이라고 본다. 지금도 미국에서 가장 부유한 계층은 가장 빈곤한 계층보다 약 15년을 더 산다. "빈곤층은 더 일찍 죽을 뿐 아니라, 나쁜 건강 상태로 지내는 기간도 더 길다."
기대수명이 100세, 120세로 늘어나는 걸 사람들이 환영할지도 의문이다. 힘든 노동이나 궂은일을 하는 사람들은 대개 은퇴를 고대하기 때문이다. 이들이 정년인 65세를 맞이했을 때 같은 일을 50년 더 하라는 소식을 반기겠나.
"미국에서 정년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대개 80대까지도 즐겁고 지적이며 안락하고 보수가 많은 화이트칼라뿐이다."
자, 처음 질문으로 돌아갈 때다. 인간은 꼭 영원히 살아야할까. 영생에 대한 탐욕이 개인과 사회에 화를 부르고 있다는 저자의 지적은 곱씹을 만하다. <이기적 유전자>를 쓴 리처드 도킨스의 말이 사실이라면, "인간은 DNA라 불리는 분자를 후세에 전하기 위한 생존기계"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안시욱 기자
"이 분야는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고, 공적 및 사적으로 엄청난 자금이 투자되며, 그로 인해 엄청난 거품이 끼어 있다. (중략) 우리가 노화와 죽음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는지 솔직하고 객관적으로 설명해야 할 시점이다."
노화와 죽음을 정복하려는 시도는 까마득한 옛날부터 있었다. 중국 진시황이 병마용을 세우고, 중세 연금술사들이 현자의 돌을 찾아 헤매던 때보다 우리가 훨씬 많은 걸 알게 된 건 사실이다. 오늘날 과학자들은 노화를 '분자 세포 조직이 입은 손상이 축적되며 점점 쇠약해지고 결국 죽음을 맞는 현상'으로 정의한다. 항노화 기술을 점검하기에 앞서 저자는 '죽음은 왜 존재할까'란 본질적인 질문을 던진다. 그냥 영원히 살면 안 되나. 모든 개체는 생존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진화를 거듭해왔을 것인데, 생존과 정반대인 죽음이 여태 존재하는 이유는 뭘까.
명쾌한 정답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생물학자인 조지 윌리엄스는 '길항적 다면발현'을 주장했다. 서로 대항적인 특징을 동시에 갖고 있는 유전자가 있는데 그것의 특징들이 시차를 두고 나타난다는 이론이다. 이런 유전자는 삶의 초반에 도움을 주는 특징이 나타나고, 번식이 끝난 이후 노년기에는 악영향을 주는 특징이 나타난다. 두 가지의 특징을 나누면 좋겠지만 그럴 수 없기 때문에 죽게 되는 것이다.
이 밖에도 긴 수명을 포기하는 대신 유전자를 전할 기회를 높였다는 '일회용 신체가설', 늙은 개체가 젊은 개체한테 자원을 양보하는 것이라는 '희생이론' 등이 있다. 죽음에 대한 가설은 대부분 인체 그 자체보다는 유전자(DNA)의 전파를 전제하는 경우가 많다.
죽음의 원인이 어찌됐던 현재 연구 성과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싶은 독자라면 책의 11장을 따로 정독할 만하다. 인체냉동보존술, 뇌 이식술, 레스페라트롤과 메트포민 등 그럴듯한 이름으로 포장된 '생명의 샘'들이 과학적 근거가 없다고 설파하는 대목이다. 소제목은 '미치광이일까, 선지자일까'. 먼 미래가 돼서야 진위가 밝혀질 문제다.
저자는 "인체냉동보존술이 성공을 거두리라고 믿을 만한 증거는 티끌만큼도 없다"고 단언한다. 몸에 부동액을 주입하는 시점부터 이미 몸속의 세포가 하나하나 엄청나게 파괴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암과 노화를 해결해준다고 선전하는 항산화 보충제는 또 어떤가. 2007년 진행된 한 연구에서 23만명의 항산화제 복용자를 분석한 결과 베타-카로틴, 비타민 A 등 일부 성분은 오히려 사망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령 이러한 연구들이 사실이라고 해도, 사회에 바람직한 효과를 가져올지는 따로 검토해야 할 문제다. 저자는 수명 연장으로 불평등이 훨씬 커질 것이라고 본다. 지금도 미국에서 가장 부유한 계층은 가장 빈곤한 계층보다 약 15년을 더 산다. "빈곤층은 더 일찍 죽을 뿐 아니라, 나쁜 건강 상태로 지내는 기간도 더 길다."
기대수명이 100세, 120세로 늘어나는 걸 사람들이 환영할지도 의문이다. 힘든 노동이나 궂은일을 하는 사람들은 대개 은퇴를 고대하기 때문이다. 이들이 정년인 65세를 맞이했을 때 같은 일을 50년 더 하라는 소식을 반기겠나.
"미국에서 정년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대개 80대까지도 즐겁고 지적이며 안락하고 보수가 많은 화이트칼라뿐이다."
자, 처음 질문으로 돌아갈 때다. 인간은 꼭 영원히 살아야할까. 영생에 대한 탐욕이 개인과 사회에 화를 부르고 있다는 저자의 지적은 곱씹을 만하다. <이기적 유전자>를 쓴 리처드 도킨스의 말이 사실이라면, "인간은 DNA라 불리는 분자를 후세에 전하기 위한 생존기계"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안시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