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중증질환연합회 회원들이 12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의대 비대위가 발표한 무기한 휴진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이솔 기자
한국중증질환연합회 회원들이 12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의대 비대위가 발표한 무기한 휴진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이솔 기자
암환자 등 중증질환자들이 의대교수들이 무기한 집단행동을 예고한 서울대병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휴진을 철회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 한국다발골수종환우회, 한국폐암환우회 등 6개 단체가 속한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12일 서울대병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법과 원칙에 입각해 의사집단의 불법 행동을 엄벌해 달라"고 요구했다.

28년째 루게릭병으로 투병 중인 김태현 한국루게릭연맹회 회장은 대독자를 통해 "100일 넘게 지속된 의료공백, 중증·응급환자들의 생명을 담보로 한 의사 집단행동의 결과로 골든타임을 놓친 많은 환자들이 죽음으로 내몰렸다"며 "특권을 유지하기 위해 국가와 국민을 혼란에 빠트리고 무정부주의를 주장하는 의사집단을 정부는 더 이상 용서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김태현 회장은 "의사집단들의 조직폭력배와 같은 행동을 보고 죽을 때 죽더라도 의사집단에 의지하는 것을 포기하겠다"며 "정부와 대통령께 호소드린다. 이번 기회에 의료개혁을 하지 않으면 영원히 할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어떤 희생을 감수하더라도 꼭 의료개혁을 성공시켜 달라"고 말했다.

변인영 한국췌장암환우회 회장은 교수들이 휴진을 결정한 것과 관련 "당신들이 지켜야 할, 살릴 수 있는 환자가 죽어가고 있다"며 "사랑하는 가족이 죽어가도 참고 숨죽여 기다렸지만 그 결과는 교수님들의 전면 휴진이었고 동네 병원도 문을 닫겠다는 것이었다"고 했다.

이어 "우리가 아픈 걸 선택했나. 그저 살다보니 병을 얻었는데 치료의 기회조차 얻지 못했다"며 "부디 생명의 가치를 존중해달라"고 했다.

식도암 4기 환자인 김성주 연합회 회장은 "환우들이 왜 의료법을 위반하고 진료를 거부하는 의사들을 고소, 고발하지 않느냐고 전화하고 있다"며 "지금까지는 고소·고발을 생각해본 적이 없지만, 만약 환자들이 지속적으로 얘기를 하면 (단체 차원에서) 검토할 생각이 있다"고 밝혔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