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잭슨 사망 후 분쟁 없었던 이유…자산가들도 꽂혔다 [이지효의 슈퍼리치 레시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자산가들 꽂힌 '유언대용신탁'

![마이클 잭슨 사망 후 분쟁 없었던 이유…자산가들도 꽂혔다 [이지효의 슈퍼리치 레시피]](https://img.hankyung.com/photo/202406/01.37018820.1.png)
13일 국세청에 따르면 2022년 한국 전체의 상속·증여 재산 규모는 188조4214억원이었다. 5년 전인 2017년 90조4496억원과 비교해 큰 속도로 불어났다. 상속·증여 재산 규모가 커지면서 관련 신탁 상품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유언장에 비해 상속 분쟁 가능성이 적은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유언장으로 상속을 결정하면 법적 효력을 놓고 분쟁이 벌어지기 쉽다. 자필 작성 여부, 날짜, 주소, 날인, 증인 등 어느 하나의 요건을 갖추지 못해도 무효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언대용신탁은 재산을 관리하는 금융사가 파산해도 신탁 자산은 보호된다.
2010년 유언대용신탁이 첫 출시된 이후 은행권을 중심으로 시장이 커졌다. 국내 5대 시중은행의 유언대용신탁 잔액은 2024년 1분기말 3조3000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같은 기간(2조3000억원)에 비해 1조원 가량 늘었다.
이지효 기자 jh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