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드마크 vs 랜드마크] 조르주 페렉의 방과 몽득선생의 누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간의 의미, 기능 아닌 대하는 태도로 결정
형식·격식 벗어나야 진정한 가치 볼 수 있어
이재훈 단국대 건축학부 교수
형식·격식 벗어나야 진정한 가치 볼 수 있어
이재훈 단국대 건축학부 교수
![조르주 페렉이 영감을 받은 일러스트레이터 솔 스타인버그의 1946년작 스케치 ‘Doubling Up(중첩)’. 아트넷](https://img.hankyung.com/photo/202406/AA.37050405.1.jpg)
![누실(陋室)을 형상화한 중국 명나라 시대 두경(杜瓊)의 작품 ‘우송도(友松圖)’. 베이징고궁박물관](https://img.hankyung.com/photo/202406/AA.37049793.1.jpg)
![[랜드마크 vs 랜드마크] 조르주 페렉의 방과 몽득선생의 누실](https://img.hankyung.com/photo/202406/07.36220132.1.jpg)
페렉은 공간을 느낀다는 건 공간 자체의 미학이나 기능으로 우리의 삶을 엮어 내는 게 아니라고 한다. 기능을 잇는 기억의 단편이나 공간 속에서 벌어진 기억에 남을 만한 기이한 경험이 떠오르는 순간 우리는 공간을 인식하게 된다고 그는 말한다. 공간을 경험한 일반인의 마음속에는 건축물의 유형은 남아 있지 않고, 하찮게 보이는 기억의 편린이 남아 있다는 것이다. 그러기에 아무리 멋진 주택이라도 집에 비가 샌다면, 그래서 나쁜 기억으로 남으면 격노하게 되는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현대 서양의 유명 작가가 일상을 세밀하게 들여다보며 글로 표현한 공간에 대한 생각은 동양의 오래된 시구와 맥락을 같이하는 것처럼 보인다. 당나라 시대의 학자 몽득(夢得) 유우석 선생이 쓴 ‘누실명(陋室銘)’의 일부를 보자. ‘산이 높지 않아도 신선이 있으면 명산이다(山不在高, 有仙則名)/물이 깊지 않아도 용이 있으면 신령한 물이다(水不在深, 有龍則靈)/이곳은 비록 누추한 집이나 오직 나의 덕으로도 향기가 난다(斯是陋室, 惟吾德馨).’
즉, 신선이나 용이 그 공간의 좋은 점 때문에 기거하는 것이 아니며 그들이 기거하기에 그곳이 좋은 곳이라는 것이다. 공간이 가진 다양한 가치와 특징은 중요하지 않고, 우리 마음에 들면 최고의 공간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누실(허름한 집)도 거주자가 만족하면 좋은 공간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누실명’은 자신이 사는 누추한 집에 만족하기 때문에 아무런 불만이 없음을 나타내는 글이다. 이글의 배경은 자신이 중앙정계에 나가지 못했으나, 시골의 한 허름한 정자에서 머물며 만족하며 살고 있다는 도가적 가치관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자신의 신분, 능력과 삶의 태도에 맞춰 환경의 가치를 알맞게 본인의 가치관처럼 포장한 것처럼도 보인다.
몽득 선생이 쓴 ‘누실명’은 멋지고 화려한 집을 추구하는 건축의 가치를 일거에 무너뜨리는 발언으로 읽힌다. 하지만 페렉도 방에서 기억나는 것은 그 방의 모습이 아니라 그 방에서 일어난 사건과 마음이라고 언급한 점을 보면, 건축에서 중요한 것은 보여지는 실물이 아니라 그것을 대하는 사람의 태도라는 것을 말해주는 것 같다. 건축 전문가들이 공간의 가치로 추구하는 기능적 완결성이나 미적 아름다움의 뒤에 사람이 처한 상황과 태도라는 개별화된 가치가 내재해 있다는 것을 다시 음미해 본다면 우리가 공간의 가치에 대해 논할 때 눈에 보이는 형식이나 격식에 얽매이지는 않을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