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년만의 한중 외교안보대화…'中 건설적 역할' 재차 촉구할 듯
김정은·푸틴 평양서 밀착행보, 한·중은 서울서 만나 '견제구'
18일 한반도에서는 북·러 정상회담과 한·중 고위급 안보대화가 동시에 펼쳐지게 됐다.

평양에서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만나 북러 밀착의 수위 끌어올리기를 도모하고, 이에 맞서 한중 차관급 안보 당국자들이 서울에서 회동해 견제에 나서는 외교전 양상이 연출되는 것이다.

이는 우크라이나 전쟁 특수로 불붙은 북러 밀착 기조에 한중 고위급 소통 재활성화가 일종의 '반작용' 움직임으로 맞물려 돌아가는 최근의 추세와도 맥을 같이 한다.

'한미일 대 북중러'라는 신냉전 구도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싶어 하는 북한은 한국과 점차 가까워지는 중국에 공공연하게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북한은 지난달 중순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중국을 찾았을 때 "청탁과 구걸외교"(북한 외무성 부상 담화)라며 견제했고, 같은 달 말 한중일 정상회의 직전에 군사정찰위성 2호기 발사계획을 통보하는 한편 공동선언에 담긴 '비핵화' 표현에는 "난폭한 내정간섭"(북한 외무성 대변인 명의 담화)이라고 반발했다.

이런 가운데 푸틴 대통령 방북이 이뤄지지만 한중 외교안보대화가 연기되지 않고, 장쑤성 당서기 방한도 예정대로 이뤄진다는 것은 중국이 여전히 북한에 '견제구'를 던지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는 평가가 외교가에서 나온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지난 13일 북러 정상 회동에 대해 '원칙적 환영' 입장을 밝혔지만, 이는 '말'에 그칠 뿐 북러정상회담 한가운데서도 한중 외교행사를 예정대로 진행한다는 '행동'에서 진영주의에 묶이지 않으려는 진정한 의도를 엿볼 수 있다는 해석이다.

강준영 한국외대 교수는 "(외교안보대화에서) 한반도 안정·비핵화 문제가 논의될 수밖에 없는데 그 자체로 북한에 메시지를 주는 것"이라며 "북한이 북중러 3자 구도를 만들려고 하지만 중국은 그렇게 하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외교안보대화 개최로) 우회적으로 전하려는 의도"라고 해석했다.

김정은·푸틴 평양서 밀착행보, 한·중은 서울서 만나 '견제구'
9년 만에 열리는 이번 행사는 2013·2015년 국장급으로 치러졌다가 차관급으로 격상돼 처음 열리는 것으로, 양국관계를 비롯해 푸틴 대통령의 방북을 포함한 한반도 문제, 지역·글로벌 정세 등 의제가 폭넓게 테이블 위에 오를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으로서는 러시아와 한층 밀착하고 도발을 이어가는 북한 문제에 대한 중국의 건설적 역할을 재차 촉구하고 한반도 안정을 위한 한중 소통 필요성을 강조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탈북민 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와 북한의 오물풍선 도발, 한국 정부의 9·19 군사합의 효력정지 결정 등 최근 고조된 한반도 긴장 상황에 대한 양측 입장 교환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 사안에 대해선 중국이 그간 보여온 원론적 입장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진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그럼에도 이번 행사는 한중간 오해를 막을 수 있는 고위급 소통 채널을 재활성화하고 대화 동력을 살린다는 상징적 의미가 크다는 것이 외교가 평가다.

한국으로선 외교안보대화를 계기로 한중관계를 관리하는 것은 물론 북중러의 '틈'을 더 벌리는 데 주력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최근 '푸틴 방북의 의미 및 전략적 고려사항' 제하 이슈브리프(김성배 안보전략연구실·김종원 북한연구실·장세호 지역전략연구실)에서 푸틴 방북 이후 한국 대응방안에 대해 "특히 한중 외교안보대화 개최를 계기로 중러북 밀착에서 중국을 이격시키는 것이 전략적 최우선 순위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