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전쟁 후 지정학적 긴장 고조로 주문 쏟아져
방산업계 채용 냉전 후 최대 규모…美·유럽 20개 기업서 수만명
미국과 유럽의 방산업체들이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주문이 쏟아지는 데 맞춰서 냉전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인력 충원에 나섰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국과 유럽의 20개 중대형 방위·항공우주 기업의 올해 채용계획을 조사한 결과 수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조사에 응한 10개 기업의 올해 채용 계획은 3만7천명으로, 이는 현재 전체 인력의 10% 수준이다.

그중에서도 미국의 록히드 마틴, 노스럽 그러먼, 제너럴 다이내믹스는 빈자리가 6천개에 달한다.

직급은 신입사원부터 임원까지 다양하고, 엔지니어, 소프트웨어 개발자, 사이버보안 분석가, 용접공 등의 수요가 많다.

유럽 항공우주방위산업협회(ASD)의 얀 피 사무국장은 "냉전 이후 주문량이 상당히 짧은 시간 내 가장 많이 증가한 시기"라고 말했다.

이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세계 곳곳에서 지정학적 긴장이 높아지면서 각국이 군사비 지출을 늘렸기 때문이다.

방산업계는 지난 수십년간 주문이 많지 않던 가운데 디지털 기술 경쟁이 심화하고 코로나19를 겪으며 인력이 부족해진 상황이었다.

이탈리아의 대표 항공·방위업체 레오나르도 관계자는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전쟁 때에 비해 더 집중적으로 인력을 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레오나르도는 영국 BAE 시스템즈, 일본 미쓰비시중공업과 함께 3개국 차세대 전투기 제작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레오나르도는 올해 말까지 6천명을 신규 채용하고 2025년부터 2028년까지는 8천∼1만명을 뽑을 계획이다.

레오나르도 관계자는 인력이 부족한 이유에는 첨단 IT 업체, 컨설팅 회사와 인력 확보 경쟁이나 '워라밸'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늘어난 점 등도 있다고 설명했다.

유럽 대형 탄약 제조업체 남모 측은 "이런 상황을 본 적이 없다"며 "2030년 말까지 회사 규모를 두배로 키우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고 말했다.

노르웨이·핀란드 정부가 일부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이 업체는 2021년 직원이 2천700명이었는데 2023년에 3천100명으로 15% 늘었고 지금은 3천250명이다.

독일 최대 무기 생산업체인 라인메탈은 14일 수요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는 자동차 부품사 콘티넨탈에서 수백명을 데려올 계획이라고 말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 4월 라인메탈 등 독일 방산업체들이 자동차 업계에서 인력을 빨아들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라인메탈은 연간 포탄 생산량을 2025년까지 70만발로 확대할 계획인데 이는 우크라이나전 이전에 비해 10배 많은 수준이다.

독일의 방공 센서 제조업체 헨솔트는 올해 700명을 새로 뽑을 계획이며, 자동차업체 엔지니어들을 대거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기어박스 생산업체인 렌크는 최근 메르세데스 벤츠의 주요 임원들을 영입했다.

프랑스 탈레스는 방위 부문에서 현재 직원 8만1천명의 약 11%인 9천명을 지난 3년간 채용했다고 밝혔다.

BAE 시스템즈는 지난해 채용을 크게 늘린 데 이어 올해는 장기 채용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BAE 관계자는 "올해 견습과정과 대학 졸업생 2천700명, 경력직 수천 명을 뽑고 있다"고 말했다.

스톰 섀도 등을 제작하는 유럽 미사일 업체 MBDA는 올해 2천600명 이상 채용 계획인데 이는 현재 인력의 17%에 달한다.

오커스(AUKUS·미국·영국·호주 안보 동맹)에 참여하는 롤스-로이스, 밥콕 인터내셔널 등은 자체 기술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영국 정부는 올해 들어 민간과 군의 핵 사업에 필요한 인력 수만 명을 훈련하기 위한 태스크 포스를 만들었다.

태스크 포스를 운영하는 핵기술 그룹 관계자는 "이런 움직임은 전례 없는 일"이라며 2030년까지 핵 방위 분야에서 3만개 이상의 추가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방산업계 채용시 한가지 애로는 일부 직종에는 추가 보안 허가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런 이유 등으로 국내에서 충분히 인력을 찾지 못한 업체들은 해외로 눈을 돌릴 가능성도 있다고 FT가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