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선비와 정읍주민들의 '조선왕조실록 수호 행렬' 22일 재현
임진왜란 당시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낸 전북 정읍의 선비 안의(安義)와 손홍록(孫弘祿) 선생을 기리기 위한 이안(移安·영정 등을 다른 곳으로 옮겨 모심) 재현행사가 열린다.

정읍시는 두 선비의 희생과 헌신을 기리는 행사를 오는 22일 오전 내장산 우화정 앞에서 연다고 17일 밝혔다.

안의·손홍록 선생은 임진왜란이 발발한 1592년 6월 22일(음력) 마을 사람 20여명과 함께 전주사고에 보관된 조선왕조실록을 정읍 내장산 용굴암으로 옮겼고, 이후 더 깊은 산속인 은적암, 비래암 등으로 옮겨가며 1년여간 지키면서 매일의 상황을 '임계기사(壬癸記事)'로 남겼다.

  
당시 충주사고, 상주사고, 춘추관이 소실됐고 전주사고만 남아 실록이 언제 불에 탈지 모르는 위태로운 상황이었다.

두 선비는 실록이 익산과 아산, 인천을 거쳐 강화부까지 옮겨질 때도 사재를 털어 동행하면서 실록을 지켜 냈다.

이런 의미를 높이 평가해 문화재청은 2018년 전주사고에 있던 실록과 어진을 정읍 내장산으로 옮긴 6월 22일(당시 기준 음력)을 '문화재 지킴이의 날'로 지정했다.

이번 행사에서 시민들은 두 선비가 실록과 어진을 내장산 용굴까지 옮긴 역사적인 순간을 재현한다.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행렬 참가자를 모집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행사를 통해 시민들이 정읍 향토사에 관해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정읍문화원과 함께 향토사를 발굴해 역사·문화적 가치를 드높이는 다양한 사업들을 펼쳐 나가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