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 통계·방범 불안 요소 등 3D로 재현…지자체-경찰 정책 수립 활용
연말까지 관악구청·관악서에 시범 운영…서비스 고도화 후 확대 운영
동네별 방범 취약요소 한눈에 분석…서울시, 내부 시스템 개발
서울시는 동별 방범 불안 요소와 범죄 발생 통계 등을 세밀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범취약지역 분석 서비스' 내부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시스템 개발로 서울시·자치구 공무원, 시 자치경찰위원회, 서울경찰청이 방범취약 지역을 함께 확인·분석하고, 시민의 안전을 위한 맞춤형 지원방안을 구상할 수 있게 됐다.

내부 시스템에 접속해 검색을 원하는 자치구와 월, 시간대를 선택하고 조회하면 '매우 양호'(연두색)부터 '매우 취약'(빨간색)까지 5단계 방범 지수별 색이 3차원(3D) 지도에 표시된다.

지역을 정해 누르면 노후주택비율·성범죄자 거주비율 등 불안지수, 살인·강도·절도 통계 등 피해지수, 보안등 설치·경찰서 접근성 등 안전지수 등 3개 영역 24개 세부지수가 뜬다.

현장 모습을 디지털로 재현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폐쇄회로(CC)TV, 스마트보안등, 안전지킴이집 등 다양한 방범 지표 데이터를 반영해 서울 전역의 범죄 취약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번 시스템 개발로 공무원과 관할 경찰서 등이 지역 방범 상황에 대해 세밀하게 분석해 주민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시는 기대했다.

시는 관악구청과 관악경찰서, 신림지구대를 시스템 시범 기관으로 선정하고, 협의체를 구성해 연말까지 행정 데이터를 보완하는 등 서비스 고도화를 추진한다.

고도화한 서비스는 연말 이후 서울 전 자치구와 파출소·지구대 등으로 도입된다.

박진영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시가 개발한 방범취약지역 분석 서비스를 기반으로 경찰, 자치구와 협력해 도시 방범 문제를 해결하고 효율적인 치안 활동을 통해 시민을 보호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