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 의료기관 113곳 의사 임금 조사
"의사 부족으로 공공·지방병원 경영위기"…의사 인건비 비중 40% 달한 곳도
공공·지방병원, 4억원은 줘야 의사 구한다…최고 연봉은 6억원
의사 1인당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공공 의료기관의 연봉은 4억원 수준이고, 개인 의사 최고 연봉은 6억원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산업재해 등을 다루는 특수목적 공공병원과 지방의료원, 재활병원일수록 의사 연봉이 높았는데, 이는 이들 병원에서 의사를 구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은 올해 4월 24일∼5월 22일 노조 조합원이 있는 의료기관 113곳을 대상으로 의사 임금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18일 공개했다.

의사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병원은 영남지역의 한 공공병원으로, 1인당 4억원을 받았다.

경기 지역의 지방의료원과 호남 지역의 재활병원 의사가 1인당 평균 3억9천만원을 받아 그 뒤를 이었다.

의사별로 따졌더니 영남 지역 특수목적 공공병원의 의사가 6억원으로 가장 연봉이 높았다.

그다음으로 충청 지역과 경기 지역 지방의료원 소속의 의사가 각각 5억9천478만원, 5억3천200만원을 받았다.

보건의료노조는 "지방병원과 중소병원의 의사 임금이 높다는 건 그만큼 이들 병원에서 의사를 구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라며 "이들 병원은 의사 구인난에 따른 진료과목 폐쇄와 진료 역량 붕괴, 경영 부담 증가 등의 악순환을 겪고 있다"고 분석했다.

공공·지방병원, 4억원은 줘야 의사 구한다…최고 연봉은 6억원
보건의료노조는 병원 전체 인건비에서 의사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조사했다.

의사 인건비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영남 지역의 한 민간 중소병원이었는데, 무려 40%를 차지했다.

그다음으로는 영남 민간 중소병원인 A병원(37.8%), 서울 사립대병원인 B병원(37%), 경기 민간 중소병원인 C병원(36.9%) 등의 순이었다.

보건의료노조는 "의사 인건비 비중이 높은 의료기관에는 지방병원, 민간 중소병원, 공공병원이 많고, 경영 악화를 겪는 사립대병원도 일부 포함돼 있었다"며 "이 결과 역시 의사 구인난을 겪는 병원들의 의사 인건비 비중이 높다는 현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최근 들어 집단휴진에 나서는 국립대병원과 사립대병원 등 대형병원 전문의 1인당 평균 임금은 1억5천만∼2억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는 연장·야간·휴일 근로수당이나 연차수당 등을 제외한 임금이라는 게 보건의료노조의 설명이다.

보건의료노조는 "최고소득층인 의사들이 의사가 부족하지 않다며 의대 증원 백지화를 내걸고 환자 진료를 거부하는 데 대한 비판 여론이 높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의사 단체들은 의사 부족과 구인난으로 지역·공공병원들이 필수 진료과를 폐쇄하고, 천정부지로 치솟는 의사 인건비 때문에 심각한 경영 위기를 겪는 현실을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어 "의사들은 집단 휴진에 나설 것이 아니라 국민이 납득할 수 있게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의 의사 적정 임금을 제시하고, 그 적정 임금을 받으며 필수·지역·공공의료에 근무하겠다는 대국민 약속이라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공공·지방병원, 4억원은 줘야 의사 구한다…최고 연봉은 6억원
/연합뉴스